[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종교 지도자들이 27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편파적인 종교탄압을 규탄하는 항의서한 전달하기에 앞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날 성명에는 국내·외 402개 단체, 종교대표 758명, 각계 인사 977명 등 총 1735명이 함께했다. ⓒ천지일보 2024.11.27.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종교 지도자들이 27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편파적인 종교탄압을 규탄하는 항의서한 전달하기에 앞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날 성명에는 국내·외 402개 단체, 종교대표 758명, 각계 인사 977명 등 총 1735명이 함께했다. ⓒ천지일보 2024.11.27.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27일, 폭설이 내린 경기도청 앞은 비장한 긴장감으로 가득했다. 목회자와 스님 등 20명의 종교지도자들이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를 규탄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 헌법을 정면으로 위배한 행정을 더는 묵과할 수 없다는 결연한 의지였다. 이번 집회는 특정 종교를 넘어 헌법적 가치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경고로 읽힌다.

지난달 30일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예정됐던 국제행사 ‘종교지도자 포럼 및 수료식’의 대관이 당일 갑작스럽게 취소된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78개국에서 약 3만 명이 참석할 예정이던 이 행사는 경기관광공사가 행사 전날까지 “취소 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당일 돌연 대관 취소를 통보하며 무산됐다. 종교지도자들은 이를 특정 기독교계의 압력에 굴복한 편파적 행정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종교 지도자들이 27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편파적인 종교탄압을 규탄하는 항의서한 전달하고 있다. 이날 성명에는 국내·외 402개 단체, 종교대표 758명, 각계 인사 977명 등 총 1735명이 함께했다. ⓒ천지일보 2024.11.27.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종교 지도자들이 27일 오후 경기도청 앞에서 편파적인 종교탄압을 규탄하는 항의서한 전달하고 있다. 이날 성명에는 국내·외 402개 단체, 종교대표 758명, 각계 인사 977명 등 총 1735명이 함께했다. ⓒ천지일보 2024.11.27.

종교지도자들은 이번 사건을 단순히 신천지와 관련된 문제로 보지 않았다. 용현 스님은 “공권력을 이용한 특정 종교 탄압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폭력적 행정”이라며 “이는 신천지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헌법적 가치와 정교분리 원칙을 근본적으로 훼손한 사례”라고 비판했다. 또한, 이번 사건으로 발생한 경제적 손실과 세계 각국 참가자들의 정신적 피해를 고려할 때, 이는 단순한 행정 실수로 치부될 수 없는 중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발표된 공동 항의성명에는 1735명이 이름을 올렸다. 개신교, 불교, 천주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계 인사들은 대관 취소를 명백한 편파 행정으로 규정하며,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공식 사과와 관련자 징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 개신교 목사는 “종교 간 갈등의 차원을 넘어 헌법적 기본권과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불교 관계자 또한 “종교의 자유는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누려야 할 기본권”이라며, 이번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종교 간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과 수도권, 강원 일부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27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북문 앞에서 열린 ‘편파적인 종교탄압 규탄 결의대회’ 릴레이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천지일보 2024.11.27.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과 수도권, 강원 일부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27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북문 앞에서 열린 ‘편파적인 종교탄압 규탄 결의대회’ 릴레이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천지일보 2024.11.27.

이번 사건에서 주목할 점은 신천지와 무관한 종교지도자들이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는 것이다. 이는 특정 종교 문제를 넘어 민주사회의 기본 원칙을 수호하기 위한 이례적인 연대로 평가된다. 폭설 속에서도 울려 퍼진 이들의 외침은 특정 종교의 문제가 아니라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경고였다. 이번 사건이 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재정립하고, 종교 간 연대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