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관광공사 대관 취소에 항의
‘헌법적 권리’ 찾아 대규모 집회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시험대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15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앞에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총회장 이만희, 신천지예수교회) 주최로 열린 편파적인 종교탄압 규탄 결의대회에서 피켓을 든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천지일보 2024.11.15.](https://cdn.newscj.com/news/photo/202411/3200108_3247387_114.jpg)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정치권과 개신교가 결탁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에 ‘이단 프레임’을 씌우고 이를 바탕으로 신천지 탄압을 부추긴 역사는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종교의 자유가 얼마나 위태로운지를 보여준다. 특히 최근 경기관광공사가 신천지의 대규모 국제행사를 대관 당일 취소한 사건은 종교탄압을 넘어선 행정폭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특정 종교에 대한 문제를 넘어 헌법 제20조에 명시된 국민의 기본권이 어떻게 훼손될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신천지는 파주 임진각에서 예정된 11만 수료식을 위해 모든 절차를 적법하게 이행하고 승인까지 받았다. 그러나 수도권기독교총연합회의 반대 기자회견 하루 만에 대관이 취소됐다. 이는 특정 종교단체의 압력에 굴복한 정치적 결정이며, 이러한 행정적 처분은 “개인 민박집도 이렇게는 안 한다”는 말처럼 있을 수 없는 폭거로 지적받고 있다.
신천지는 코로나19 확산 당시에도 정치권과 개신교의 희생양이 됐다. 31번 확진자가 신천지 대구교인으로 확인되자 신천지는 바이러스 확산의 주범으로 몰렸다. 정치권은 기성교회와 손잡고 신천지를 극심한 사회적 비난과 압박 속으로 몰아넣었다. 강제수사, 세무조사, 그리고 총회장의 구속까지 이어진 일련의 사건은 신천지를 희생양 삼아 표심을 다지려는 정치적 계산의 결과였다.
이처럼 긴 세월 탄압을 묵묵히 참고 있던 신천지가 이번 경기관광공사의 행정폭거를 ‘편파적인 종교탄압’으로 규정하고 거리로 나섰다. 헌법이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를 침해당한 상황에서 신천지의 항의는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대관 취소로 인해 해외에서 입국한 수많은 종교지도자들과 행사 준비에 투입된 막대한 자원이 무산된 점을 고려하면, 이는 명백한 탄압 행위로 볼 수밖에 없다.
그간 개신교는 신천지의 급성장을 자신들의 기득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이단 프레임’을 통해 탄압을 부추겼고, 표심을 노리는 정치와 맞물려 헌법적 가치마저 훼손하고 있다. 신천지를 둘러싼 탄압은 마치 중세 마녀사냥을 떠올리게 한다. 특정 종교의 압력으로 행정기관이 움직이고, 이를 통해 약자를 희생양으로 삼는 구조는 현대 민주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행태다.
이번 신천지의 대규모 집회는 정치권과 개신교의 구조적 탄압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헌법이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원칙은 결코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 경기관광공사의 행정폭거를 기점으로 신천지에 대한 일방적 탄압이 멈추고, 대한민국이 진정한 법치국가로서 종교의 자유를 존중하는 계기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종교적 편견과 정치적 계산을 넘어 헌법적 가치를 지키는 성숙한 사회로 나아가야 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