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권한 행사하다 논란 산 ‘경기총’
‘가짜뉴스’ 장본인들 영입한 ‘수기총’
김동연 도지사 종교편향 행보 지적돼

[천지일보=강수경, 임혜지 기자] 수도권기독교총연합회(수기총)가 신천지예수교회가 주관하는 임진각 평화누리 대관을 취소하도록 방해 시위를 한 바로 다음날 경기관광공사가 대관을 취소했다. 기독교 연합단체들의 입김이 경기도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다. 여기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대관 취소 지시가 확인된 후 보란 듯이 경기도기독교총연합회(경기총) 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안보와 동포 간 평화를 위한 협력’을 당부했다. 같은 국민인 신천지를 이단이라며 탄압하는 개신교 단체의 압박에 공공기관이 굴복해 종교편향적 행정조치를 했다는 비판이 거센 가운데 있어진 행보로 명백한 편향이라는 지적이 가중됐다. 경기도와 밀접한 유착관계를 보이는 경기총과 수기총. 과연 경기도 기독교를 대표할 자격이 있을까.
◆경기총, ‘경기도 교회’ 대표 자격 논란
경기총은 대표성이 없음에도 권한을 행사해 일전에도 논란을 산 적이 있다.
지난 2020년 3월 11일 당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2미터 거리두기 등의 조건을 지키지 않을 경우 종교시설 집회 제한 명령을 발동하는 것으로 기독교계와 합의했다”고 말했다. 합의 대상은 경기총이었다. 즉각 개신교 내부에서는 경기총이 경기도 내 교회들에 대해 수직적 영향력과 강제력을 가진 교단 같은 ‘상위 기관’이 아닌 ‘지역 연합단체’이기에 경기도 교회들을 대리해 합의 권한을 행사할 수 없고, 권한을 위임받은 적도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재명 도지사는 애초부터 권한 없는 이들과 논의 후 합의를 발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개신교 내에서는 교단이 소속된 교회의 최상위 기관으로서 대내외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때문에 교단차원에서 결정을 내리면, 산하 교회는 따라야 한다. 하지만 경기총은 수평적인 지역 교회 연합 단체일 뿐이다. 경기총이 경기도 교회들을 대리해 무엇인가 합의 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던 이유다.
당시 이재명 도지사와 간담회를 가진 목회자들은 권한도 없는 이들이 왜 도지사와 만나 그런 대화를 나눠 논란거리를 만드냐는 비판도 받았다.

◆국민 안전 위협한 신문광고 게재 논란도
그런가 하면 지난 2020년 8월 28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갑작스런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2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한 광고가 복수 일간지에 실려 논란을 샀다. 교회가 국민의 건강을 무시하며 정부의 지침에 맞서는 태도가 담긴 성명이었다.
경기총 명의로 실린 신문광고의 제목은 ‘정부는 기독교의 생명인 예배를 함부로 제한하지 말라’였다. 광고의 핵심은 방역조치를 유지하며 계속해서 대면 예배를 강행하겠다는 것이었고, 이는 정부와 방역 당국의 지침을 따르지 않고 위반하는 대응이었다. 즉각 경기총 산하 교회들은 혼란을 겪었다. 경기총 권고를 따르면 정부의 공적 조치를 거부하는 것이었고, 일반인들의 비난을 살 게 뻔했기 때문이었다. 경기총 소속 일부 목회자들은 SNS 단톡방에서 광고 내용을 비판했다.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자 대표회장 김수읍 목사는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임원회가 광고를 허락한 바가 없다고 선긋기에 나섰다. 이 주장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대표회장과 임원회가 허락한 적 없는 광고가 경기총 이름으로 게재됐다는 것인데, 이는 이것대로 2009년 설립해 10주년을 넘긴 단체가 기본적인 체계조차 잡지 못한 부실한 단체라는 것을 방증한 게 아니냐는 비판을 샀다. 이에 내부에서는 지도부인 유모 목사에 의해 광고가 주도됐다는 책임 회피성 주장도 나왔다. 유모 목사는 대북전단 살포를 옹호하는 논평 등으로 일부 개신교 보수집단을 대변하며 국민들에게 국가 안보 불안감을 더해줬던 한국교회언론회 대표이기도 하다.
◆수기총 전문위원, ‘가짜뉴스 논란’ 주요 장본인들
이와 함께 수도권기독교총연합회(수기총)의 주요 인사들은 대부분 한국 보수 개신교 진영의 핵심 인물들로, 이들은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이나 한국기독교총연합(한기총)과 같은 보수 단체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한국교회총연합 A 목사, B 목사 등의 수기총 지도부는 한국교회 보수 성향의 인사로 분류된다. 한국교회 보수 교회와 인사들은 대북 전단 살포나 김포 애기봉 성탄 트리 점등과 같은 정치적 행위를 지지하며, 이념적 결속을 강화해왔다.
이들의 행동은 보수 우파 개신교가 남북 문제, 특히 대북 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불러일으켰다.
또 수기총의 전문위원 중에는 ‘가짜뉴스 공장’으로 비판 받는 에스더기도운동본부의 C 교수와 반동성애 활동가인 D 교수 등이 있다.

에스더기도운동본부는 동성애 혐오 및 차별금지법 반대 논리로 가짜뉴스를 퍼뜨려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법적 소송까지 휘말렸다. 2018년 9월 27일부터 한 달여간 한겨레 탐사팀은 “‘가짜뉴스’의 뿌리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에스더기도운동본부 중심의 반동성애 단체와 인사들이 사실과 다른 내용을 담은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과정을 추적했다. 한겨레는 해당 보도에서 가짜뉴스가 유통되는 유튜브 채널 100여개, 카카오톡 채팅방 50여개를 전수조사하고 연결망 분석 기법 등을 이용해 에스더기도운동본부를 ‘가짜뉴스 유통 공장’이라고 결론 냈다. 이에 반발해 에스더기도운동본부는 형사고소와 함께 민사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했다. 검찰은 불기소 처분을 내렸고, 에스더기도운동본부는 이에 항고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민사 손배소도 3년여에 걸친 소송전 끝에 결국 패소했다.
재판부는 판결에서 “핵심은 ‘내용의 진실성 여부, 즉 정보에 포함된 사실이 실재하는가’, ‘정보의 전달과정에 어떠한 의도가 있는가’인데,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유튜브채널에 올라온 동영상에서 원고가 허위조작정보 또는 오정보를 전달하고, 결국 동일한 취지의 콘텐츠가 계속 올라오는 특정 유튜브채널을 통해 이러한 허위조작정보 또는 오정보가 전파되는 것을 원고가 가짜뉴스를 전파한 것이라고 표현한 것은 진실에 부합하다”고 설명했다.
또 D 교수도 개신교 보수 언론인 뉴스앤조이가 ‘가짜뉴스 유포자’로 D 교수를 지목한 데 대해 손배소를 진행했다가 C 교수와 마찬가지로 패소했다. 이들을 간판 전문위원으로 내걸었다는 점에서 수기총은 극우적 성향을 더욱 부각시켰고, 혐오와 차별을 조장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성경 앞세워 증오‧혐오 선동하는 기독교 연합 단체
이들을 통해 수기총이 원하는 목적이 뭘까. 수기총의 공식 웹사이트와 설립 취지를 보면,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성경적 가치 수호와 수도권 복음화’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이들은 ▲수도권 내 기독교 지역 연합 사업 ▲수도권 교회‧국가‧사회의 공동 관심사에 대한 대응 및 연구 사업 ▲신앙의 자유,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차별금지법(평등법) 등 성경적 가치관에 반하는 악법 반대 활동 및 성경적이고 건전한 입법 지원 사업 ▲선교사업, 교육사업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반 사업 ▲타 지역 기독교단체, 시민단체, 사회단체 등과 협력‧연대 사업 등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다양성과 권익을 존중하기보다는 한국교회의 이익을 지키고, 이를 위해 차별금지법 등 진보적 법안에 반대하는 보수 성향의 법안들을 추진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수기총이 특정 종교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진 성향이 분명한 종교집단이라는 의미다.
경기도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유착 행보를 보인 경기총과 수기총은 전통적 보수 한국교회 지역 연합단체이다. 이들은 한국교회의 입장과 권익을 대변하며, 타 종교 및 다원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편향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이 같은 종교단체의 위력은 지역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촉진시킬 수밖에 없다. 이후 경기도와 김동연 도지사의 행보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