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거래 중 65% 올라
상승거래비중은 13%p 감소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난 두 달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했지만 거래가 이뤄진 곳에서는 여전히 직전 가격보다 높은 금액에 팔린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이전인 7∼8월에 비해 상승 거래 비중은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났다.
5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를 2달 간격으로 분석한 결과 대출 규제가 본격화된 지난 9∼10월 계약 중 65%가 종전 가격보다 높게 팔렸다. 이는 직전 7∼8월의 상승 거래 비중 78%보다 13%p 감소한 수치다.
하락 거래 비중은 지난 7∼8월의 21%에서 9∼10월에는 33%로 증가했다. 대출 규제의 영향이 큰 비강남권에서는 하락 거래 비중이 높았고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강남권에서는 상승 거래 비중이 높았다.
행정구 별로 관악구는 지난 9∼10월에 상승 거래와 하락 거래가 각각 절반을 차지했다. 중랑구는 하락 거래가 48%로 상승 거래(46%)보다 많았다. 금천구(43%), 노원구(41%), 강서·종로·은평구(40%) 등도 하락 거래 비중이 높았다.
반면 용산구는 상승 거래가 84%로 하락 거래(1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고 강남구는 상승 거래 76%, 하락 거래 23%(보합 1%)를 기록했다. 송파구·마포구·중구·양천구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70%를 넘었다.
실제로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면적 94.49㎡는 지난 7월 매매가격이 38억∼39억원이었지만 9∼10월에는 40억∼42억원으로 약 2억원 올랐다.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 1단지 전용 84.9㎡도 7월 18억 4천만원에서 지난달 중순 19억 5천만원으로 약 1억 1천만원 상승했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거래가 줄었지만 아직 집값이 본격적으로 하락하는 국면은 아니다”며 “강남권 등 인기 지역에서는 여전히 상승 거래가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계속될지는 불투명하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시중은행들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마포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올해까지는 금융권의 강도 높은 대출 제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은행이 실질 금리를 내리지 않아 거래 위축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집값이 급락할 가능성은 적지만 사정이 급한 집주인들은 급매물을 내놓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2978건으로, 전월(6348건)보다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거래량은 올해 서울 아파트 시장이 차츰 살아나면서 지난 7월 9044건까지 기록했으나 8월부터 꺾이기 시작했다. 10월 거래량은 이날 기준 2146건으로, 아직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 남아있지만 7∼8월 당시 거래량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