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기후변화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평균 0.3%p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금융감독원·기상청은 4일 ‘기후변화 리스크(위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하고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가격 상승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산업의 생산비용 증가, 국내외 온도 상승·강수 증가 피해, 태풍 등 자연재해 빈도·규모 확대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해 세계가 별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 2100년께 경제 성장률이 기준 시나리오(국내 인구성장 추세 바탕 추정 성장 경로)보다 21%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2024년부터 2100년까지 연평균 0.30%p씩 성장률이 깎이는 셈이다.
반면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 이내로 억제해 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경우 2100년 GDP 감소율과 연평균 성장률 하락 폭은 각 10.2%, 0.14%p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물가 역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 위험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우리나라 생산자물가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1.8%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연구팀 과장은 “탄소가격 정책에 따른 전환 리스크의 영향은 2050년 전후 확대됐다가 이후 점차 축소된다”며 “기후 피해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는 정책 대응이 없거나 늦은 경우 2100년에 이르면서 급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이어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조기 강화하는 게 우리나라 경제에 장기적으로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