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까지 53.7만 가구 규모로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국토교통부가 ‘일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공개하며, 중동, 산본, 평촌,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5곳의 재정비 계획을 모두 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고양시는 25일부터 기본계획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을 시작한다.
일산 신도시는 ‘활력 있고 생동감 있는 공원도시’를 비전으로 삼아 녹색공원도시, 교통도시, 자족도시, 정주환경도시, 복지문화도시의 5대 목표로 재정비될 예정이다. 기본계획은 호수공원과 문화공원 등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고, 주거·일자리·문화가 융합된 도시공간을 마련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특히 일산 신도시는 1기 신도시 중 평균 용적률이 가장 낮은 169%로 설정됐으며, 아파트는 300%, 주상복합은 360%의 용적률로 계획됐다. 이를 통해 2만 7천 가구의 주택 추가 공급 기반이 마련돼 기존 24만 명과 10만4천 가구에서 30만 명과 13만 1천 가구로 증가할 전망이다.
1기 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수도권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해 1989년 200만 가구 건설 계획으로 조성된 대표적인 신도시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총 29만 2천 가구로 조성된 1기 신도시 5곳은 현재 39만 2천 가구로 성장했다. 올해 4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14만 2천 가구의 추가 공급 기반이 마련돼, 2035년까지 총 53만 7천 가구 규모로 재정비될 예정이다.
5곳의 기본계획은 현재 주민공람을 거쳐 지방의회 의견 청취, 지방위원회 심의, 경기도 승인을 통해 연내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계획 이전에 공개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방침(안)’도 의견조회를 마쳤으며, 오는 10~11월 중 특별위원회 심의를 통해 수립될 계획이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공모는 오는 27일까지 각 지자체가 제안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1기 신도시 5곳의 재정비 계획이 모두 제시됐고, 14만 2천 가구의 추가 공급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그는 “1기 신도시가 미래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도시정비가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