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 역대 최대
BIS 기준 매크로 레버리지 45.4%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올해 1분기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우리나라 정부 부문의 매크로 레버리지는 45.4%로 집계됐다. BIS 기준 매크로 레버리지는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서 비영리 공공기관과 비금융 공기업을 제외한 협의의 국가채무 수준을 말한다.
BIS 기준 매크로 레버리지에 따른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20년 1분기 말 40.3%을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상승 곡선을 이어왔다.
해당 비율은 2022년 3분기 말 41.2%로 떨어졌으나 같은해 4분기 말 41.5%로 반등했고, 지난해 1분기 말 44.1%, 2분기 말 44.2%, 3분기 말 43.1%, 4분기 말 44.0% 등으로 40%대를 횡보하고 있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45% 선을 넘은 것은 올해 1분기 말이 처음이다. BIS가 관련 통계를 제공하는 1990년 4분기 말 이후 최고치다.
BIS는 1분기 말 정부부채 규모를 1119조 2597억원(8234억 300만 달러)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원화, 달러화 기준으로 모두 역대 최대치다.
GDP 대비 가계·기업부채 비율은 나란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4분기 말 93.6%에서 올해 1분기 말 92.0%로 내렸다. 기업부채 비율도 113.0%에서 112.2%로 낮아졌다.
이에 따라 GDP 대비 민간신용(가계부채+기업부채) 비율은 206.5%에서 204.2%로 하락했다.
우리나라 GDP 대비 부채 비율 순위는 1분기 말 기준 스위스(127.7%), 오스트레일리아(110.3%), 캐나다(101.4%), 네덜란드(94.9%) 등에 이어 다섯 번째로 수치가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