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가 15일 여의도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 에서 신민당 창당준비선언을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文-安 ‘핑퐁충돌’… 회동 통해 돌파구 마련하나
탈당한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 신민당 창당 선언

[천지일보=정인선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공천혁신안 의결을 위한 중앙위원회 개최 및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 투표 문제를 두고 내홍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신당창당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다.

16일 중앙위 개최를 하루 앞두고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제안과 역제안을 거듭하면서 날선 충돌을 이어갔다. 15일 안 전 대표는 16일 중앙위 연기와 재신임 투표 취소를 문 대표에게 거듭 요청하면서 문 대표와의 담판의사를 밝혔다.

문 대표가 전날 공개 편지를 통해 중앙위 연기 요청 및 재신임 투표 철회 요구를 거절한 데 대한 답변인 셈이다.

안 전 대표는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16일 중앙위를 연기하거나 (중앙위를 열더라도) 안건(혁신안) 처리를 하지 말아달라”며 “대표직 재신임 연계도 취소해 달라”고 재차 요구했다.

이어 “재신임 관련 당원 및 국민 여론조사도 취소해 달라”며 “대표의 거취보다는 혁신의 거당적 공론화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당 위기와 혁신의 본질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끌어내고 ‘육참골단’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 16일 중앙위 문제를 포함, 문 대표와 오늘 중이라도 만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의 제안에 따라 두 사람은 이날 저녁 국회 밖 모처에서 만나 중앙위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을 통해 파국을 막아내고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는 15일 ‘신민당’ 창당을 선언했다. 끊임 없이 제기된 야권발(發) 신당창당 움직임이 처음으로 실체를 드러낸 것이다.

박 전 지사는 이날 여의도 서울시티클럽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총선에서 새정치연합을 대신하는 제1야당으로 자리매김하고 대선에서 정권교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민당이 (새정치연합을) 대체하지 않으면 다음 대선 패배는 명약관화하다”며 “위민(爲民), 위국(爲國), 위족(爲族)을 신민당의 기본정신으로 삼아 당원이 주인인 정당, 일하는 정당, 보통사람들의 정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신민당은 내달까지 창당발기인대회를 열고 연말 당을 공식 출범시킬 계획이다.

특히 박 전 지사는 신당창당 계획을 공식화한 무소속 천정배 의원, 박주선 의원을 비롯한 ‘탈당파’와도 힘을 합칠 수 있다고 밝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전 지사는 천 의원에 대해 “국민의 명령은 새정치연합을 대체하라는 것이니 신당파는 전부 합쳐야 한다”며 “(세력을) 합치는 등 여러 가지 길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방향과 노선의 차이가 있어 계속 대화를 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그는 현역의원 합류 가능성에 대해선 “같이하겠다는 뜻을 밝힌 분들이 많다”며 “박 의원을 비롯한 상당수 의원들이 정기국회가 끝나고 움직일텐데 그 시기에 같이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견에는 박 전 지사와 함께 문화, 농업, 여성, 종교 등 사회 각계각층을 대표할 수 있는 인사들이 참석해 생활밀착형 중도정당을 지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일각에서는 박 전 지사가 전남도지사 3선을 역임한 만큼 호남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당의 모습으로 출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이 재신임 파동으로 내홍을 겪는 가운데 이번 신당창당이 야권재편의 탄력을 받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현역의원이 한명도 참여하지 않아 신당의 파급력이 예상보다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편 신민당은 지난 1967년 분열된 야권세력을 모아 창당됐던 당이다. 호남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나선 바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