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의원들에게 제출한 ‘2015학년도 수능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어·영어·수학에서 1·2등급 비율이 높은 상위 10개 고등학교에 일반고는 한 곳에 불과했다.
충남 공주시에 있는 한일고만 4위(73.1%)에 이름을 올렸고 나머지 9개교는 자사고, 외국어고, 국제고로 채워졌다.
전국적으로 1·2등급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강원도 횡성에 있는 민족사관고(자사고)로 80.1%에 달했다. 이어 경기도 용인시의 한국외국어대부설고(자사고, 76.1%), 서울 대원외고(75.1%)가 뒤를 이었다.
1·2등급 비율이 높은 상위 50개 학교를 기준으로는 외국어고가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사고 9곳, 일반고 8곳, 국제고 6곳, 과학고 4곳, 자율형공립고 2곳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일반고가 차지하는 비율은16%에 불과하다.
이 같은 결과는 특목고와 자사고에 우수한 학생이 몰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육부가 일반고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쉬운 수능’의 기조로 가고 있지만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셈이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의 임성호 대표는 “보통 수능이 쉬우면 일반고는 유리하고 특목고나 자사고 불리해진다는 게 정설”이라며 “지난해 수능에서도 특목고와 자사고가 강세를 보인 것은 일반고와 격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민아 기자
mina8172@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