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한·중·일 상장기업 경영성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일본기업은 2011년과 2012년 3% 이하의 저조한 매출액 증가율을 보였지만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엔저에 힘입어 가격경쟁력을 회복하면서 2013년 11.5%, 2014년 4.7%의 성장을 달성했다.
반면에 한국기업은 일본기업과의 경쟁 심화, 중국 경제성장 둔화로 2013년 마이너스 2.6% 성장에 이어 2014년에도 1.4% 성장에 그쳤다.
중국의 경우 2011년까지 20% 이상 매출액증가율을 달성했지만 2012년부터 글로벌 경기 둔화, 질적 성장으로의 발전전략 전환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7% 대로 낮아지면서 기업의 매출증가율은 한 자리수로 낮아졌다.
수익성에 있어서 중국 상장기업들은 최근 수년간 10% 이상 두 자릿수 안정적 수익을 유지하고 있지만 한국기업은 2012년부터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세전순이익률에서 모두 일본기업에 추월당했다.
전경련은 2013년 이후 한중일 3국 기업 중 우리기업의 경영성과가 가장 부진한 것은 전기·전자·자동차 이외 업종의 수출 부진과 중국 경제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글로벌시장 지배력을 갖춘 기업조차 부진에 빠져 있는 등 우리 경제가 장기적 저성장으로 가는 위험징후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유영선 기자
sun@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