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가 12일 오전 무안군청 광장에서 호남고속철 노선을 두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 무안군)

경부선 ‘고속화’, 호남선 ‘저속화’? 지역 차별 논란
박근혜 대통령 호남고속철 공약사항 지켜지나 관심

[천지일보 무안=김미정 기자]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가 호남고속철도 2단계 노선을 두고 상반된 의견을 내고 있는 가운데 무안군민들이 ‘무안국제공항 경유’를 촉구, 성명서를 발표했다.

12일 오전 무안군청 광장에 모인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위원장 박일상)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국토교통부 노선으로 2단계 사업을 조속히 건설할 것을 촉구했다.

성명서 발표에는 이윤석 국회의원(무안·신안), 정영덕 도의원(무안 2선거구), 무안군 여성 이장단원, 군 의원 등 50여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기획재정부의 기존 확정노선 변경은 당장의 경제성에만 치중해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의 미래 경제 가치를 예측하지 못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부선 모든 노선은 고속화하면서 호남선만 저속철로 한다는 것은 지역 차별적인 처사로 호남고속철도의 조속한 추진을 약속한 대통령의 공약사항에도 정면으로 반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실무부서인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8월 경제성과 실현성 측면을 고려해 무안공항을 경유하도록 확정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건설비가 많이 든다는 이유로 무안공항과 목포을 이원화할 계획을 내놓았다.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무안공항과 목포행 이원화의 경우 매년 50억원 이상의 운영비가 추가 소요되고 고속철도와 일반철도의 혼용구간 증가로 인해 안정성이 우려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박일상 추진위원장은 “10여년 동안 호남고속철도 건설을 손꼽아 기다린 호남 지역민을 무시한 이번 계획안은 국민의 소통을 무시한 정부의 억지 주장”이라며 “건설교통부의 타당성 용역에서 경제성과 실현성 측면에서 최적 노선으로 확정한 ‘광주 송정-나주-무안공항-목포’ 노선이 관철되도록 요청해 지역민의 염원을 대변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발표한 후 기획재정부를 방문하기 위해 관광버스를 이용, 세종시 정부종합청사로 향했다.

한편 무안국제공항은 목포공항과 광주공항을 대체하고, 전남 지역의 거점 공항을 목표로 지난 2007년 11월 개항했으며, 2014년에는 총 17만 8000여명의 이용객 수를 기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