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지 (Advanced Materials) 지난 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으며, 해당 호지의 속 뒷표지 (inside back cover) 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생분해성 물질을 이용, 소비자 기호에 맞게 프로그래밍 가능하며 전자 소재가 물에 용해되는 특성을 이용해 여러 단계에 걸쳐 기능적으로 변형 가능한 전자 회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향후 이 기술은 소프트웨어 상에서의 프로그램 변형과 같이, 반도체 회로 변경 및 재 프로그래밍 하는 목적에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자 시스템의 기능 변형은 각 소재의 두께·용해 속도 (thickness·dissolution rate) 및 보호막 (encapsulation layer)의 두께·용해속도에 의해 발생되는데, 기능 변형에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기능이 변형 가능한 전자 회로는 실리콘 CMOS 기반의 논리 회로 (logic gate)에서부터 무선 형태 시스템까지 다양하게 제조 가능하다.
현 기술은 전자 소재의 물·액체에 대한 화학적 성질·반응을 이용, 외부적 요인에 의해 기능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데, 더 나아가 물리적 형태의 외부 요인 및 그 외 요인에 의해서도 전자 회로의 변형·복구가 발생하는 시스템도 가능하다.
황석원 교수는 “기능 변형 가능한 생분해성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양하고 정교한 기능을 지닌 의료용 임플란트 전자소자, 보안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응용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