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대한항공의 지난달 국내선 여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감소했다. 반면 다른 국내 6개 항공사의 여객은 10∼40%가량 증가했다.
17일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통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달 국내선에서 48만 2000명을 수송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1만 6000명보다 3만 6000명 줄어든 것이다.
이와 달리 아시아나항공의 국내선 여객은 2013년 12월 35만 8000명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40만 6000명으로 13.2% 증가했다. 업계 1위 대한항공과 2위 아시아나항공의 수송여객 차이는 1년 만에 15만 8000명에서 7만 6000명으로 좁혀졌다.
국내선 여객 증가율이 가장 높은 항공사는 제주항공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1.9% 많은 29만 5000명을 수송했다. 항공사 전체로 보면 지난달 국내선 이용객은 190만 5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1.5% 증가했다.
대한항공의 경우 감소한 국내선 여객과는 달리 국제선 여객은 소폭 증가했다. 대한항공의 지난달 국제선 여객은 137만 8000명으로, 2013년 12월보다 2.5% 증가했다. 그러나 7개 항공사 전체의 국제선 여객이 304만 4000명으로 9.2%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평균 증가율에 못 미친다.
아시아나항공 여객은 9.0% 늘었으며 티웨이항공(49.8%), 진에어(43.0%), 에어부산(39.5%), 제주항공(18.2%) 등 저비용항공사의 증가율이 눈에 띄었다.
대한항공 측은 “국제선은 보통 여행 몇 달 전에 예약하니 (‘땅콩 회항’ 사건 이후) 예약률에 눈에 띄는 변화는 없다”면서 “현재 2월과 3월 예약률은 작년보다 5% 포인트 정도 높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제선은 대한항공 노선이 가장 많아 승객이 다른 항공사를 선택할 여지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대한항공 내부에서도 기존 고객층의 이탈은 그다지 걱정할 것 없다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항공이 이번 일로 큰 타격을 입었는데도 국제선 예약률이 떨어지지 않은 것은 대한항공을 많이 이용하던 승객들이 그간 적립한 항공 마일리지 때문에 다른 항공사로 갈아타기를 꺼리는 이유도 있다.
하지만 대한항공이 이미지를 쇄신하지 못하면 결국 승객들에게 외면당하는 사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 ‘땅콩 회항’ 후폭풍?… 대한항공 국내선 승객 감소
- 대한항공, 바비킴에 실수로 다른 승객 탑승권 발권
- 항공기 내 폭행·성희롱 불법행위, 전년比 2∼3배 급증
- 대기업 총수 자녀, 28세 입사해 3.5년 만에 임원
- 조현아 등 3명 구속기소… “조직적 은폐·조작 시도”
- ‘기업인 가석방’ 바람 거세지나
- 아시아나 ‘별학교’로 도심 속 밤하늘 낭만 선사
- 대한항공, 27일 오후 2시부터 설 연휴 임시 항공편 예약 접수
- 국토부, 항공기 지연·결항 보상 기구 만든다
- 대한항공 ‘복조리 걸기’로 고객 만복 기원
- 대한항공, 올해 객실 승무원 채용 대폭 확대한다
- 대한항공, 이탈리아 항공편 대폭 강화
- 아시아나항공, 지난해 영업이익 981억… 흑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