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 이후 불안 지속… 정규직 전환은 ‘11%’뿐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은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처음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은 76만 1000명이었다. 이는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를 차지한다.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13년(21.2%)보다는 낮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 비중은 2008년 11.2%였으나 2009년 12.4%, 2010년 16.3%, 2011년 20.2%로 급격히 증가했다. 2011년부터는 4년째 2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정규직 일자리가 단기 계약직으로 대체되면서 청년층의 불안한 고용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계약기간이 1년을 넘는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08년 6.4%에서 지난해 3.1%로 감소됐다.
계약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일시적으로만 일할 수 있는 곳을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 비중은 34.8%였다. 이는 청년 취업자 3명 중 1명이 고용이 불안정한 곳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는 것을 말한다.
계약기간이 따로 없이 계속해서 근무 가능한 직장에 취업한 청년은 지난해 242만명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의 62.1%였다.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 비중은 2008년(63.2%)보다 여전히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비정규직 이동성 국가 비교’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 비정규직이 1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11.1%에 불과했다. 계속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비율이 69.4%, 아예 실업 상태로 떨어지는 비율은 19.5%였다. 비정규직이 3년 뒤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22.4%로 다소 높아지지만, 여전히 비정규직으로 머무는 비율이 50.9%에 달했다. 나머지 26.7%는 실업자가 된다.
김두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첫 일자리는 향후 사회활동의 기준점이 되는데다 업무능력 습득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며 “비정규직이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