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올겨울에도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기승을 부려 주의가 필요하다.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2010∼2014년)간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은 연평균 36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44%인 16건이 겨울철에 발생했다. 식중독 환자 수는 겨울철 평균 874명으로, 이중 절반가량인 431명이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환자였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음식물뿐만 아니라 개인 위생관리가 소홀한 틈을 통해서도 발생한다. 특히 겨울에는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손 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가 소홀해져 사람을 통해 감염되기 쉽다.
노로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서 오래 생존하고,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될 수 있다. 이에 식약처는 화장실 사용 후나 조리 전, 귀가 후에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다. 이에 손을 씻을 때에는 비누나 세제로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닦아야 한다.
또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강하기 때문에 어패류 등은 중심부 온도 8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익히고, 지하수는 끓여 먹는 것이 좋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구토물과 분변을 통한 전파를 막기 위해서 변기, 문 손잡이 등은 락스 등 가정용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해 소독해야 한다.
집단급식소나 음식점 등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집단 식중독으로 번질 수 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정기적인 수질 검사로 노로바이러스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배탈,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조리를 즉시 중단하고 회복된 후에도 최소 2주간은 조리하지 않아야 한다. 조리기구는 열탕이나 염소소독으로 철저하게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