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내 목소리 확산할 듯
야당은 ‘특검’ 등 전면 부각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청와대가 초유의 항명 사태를 일으킨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표를 10일 수리한 가운데 여야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하면서도, 인적쇄신론에 힘이 실릴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특검 도입을 촉구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런 상황으로 볼 때 항명 사태에 따른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항명 사태에 대한 새정치연합의 공세를 차단하는 한편 박 대통령의 12일 기자회견을 통한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김 민정수석의 사표 수리에 대해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인적쇄신의 목소리가 커질 수 있는 돌발 악재가 발생했다는 데 대한 고민이 깊다. 그렇지 않아도 ‘정윤회 문건’으로 인해 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 인적쇄신의 목소리가 꾸준히 분출돼왔다.

앞서 이재오 의원은 “최소한의 정치 도의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청와대 비서실장이든, 담당 비서관이든, 비선실세라고 알려진 사람이 책임을 지든지 뭔가 말끔하게 처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항명 사태는 이 같은 인적쇄신에 더욱 불을 붙이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맥락에서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항명 사태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인사문제를 포함한 쇄신책이 어떤 식으로된 언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항명 사태를 고리로 정부를 향한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청와대의 인적쇄신은 물론 특검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10일 “청와대는 사표를 수리하기 전에 질책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임했어야 한다”며 “대통령께서 국정을 잘 운영할 수 있도록 청와대의 인적쇄신이 필요한 이유가 추가됐다. 그리고 특검이 필요한 이유가 또 하나 추가됐다”고 강조했다.

김정현 수석부대변인도 “박 대통령은 이번 사태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전면적인 인사쇄신과 사태의 진상을 밝힐 특검 도입에 대한 결심 없이는 ‘백약이 무효’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고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