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3일 보도자료를 통해 “매각되는 4개사 임직원들과는 아직 대화가 시작되지 않은 단계”라며 “현재 임직원과 회사 간의 대화 창구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구성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대위가 구성되면 임직원들과 성심성의껏 대화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이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장이 이날 오전 수요사장단회의 브리핑에서 “(매각되는 4개사) 임직원들과 성심성의껏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며 “지켜봐 달라”고 밝힌 것을 정정한 것이다.
비대위는 주인이 바뀐 이후 고용안정, 처우, 사업비전 등에 대해서 논의할 것으로 전망이다.
일부 임직원을 다른 삼성 계열사로 전환배치 하거나, 위로금을 지급하는 문제 등도 이 자리에서 함께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은 지난달 26일 삼성테크윈, 삼성탈레스, 삼성종합화학, 삼성토탈 등 4개 계열사를 한화그룹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삼성이 한화에 매각하겠다고 발표한 후 4개 계열사 임직원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삼성테크윈 직원들은 ‘매각반대 전사 범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으며, 노조 설립을 추진 중이다. 삼성테크윈 국내 임직원은 4700여 명이며, 해외사업장까지 포함하면 임직원 수가 6000명이 넘는다.
삼성토탈 역시 매각 발표 후 충남 서산지청에 노조설립신고서를 제출했다.
한편 지난해 미국 코닝으로 넘어간 삼성코닝정밀소재의 경우 비상대책위원회가 계열사 이동 신청을 받고, 잔류 직원에게 위로금을 지급키로 사측과 합의했다.
잔류 위로금으로는 ‘4000만 원+기본급 10개월 치’로 직원 1인당 평균 6000만 원 꼴이었다.
- 한화그룹, 삼성테크윈 등 삼성그룹 계열사 4곳 인수
- 삼성, 삼성테크윈 등 4개 계열사 한화에 매각 결의
- 한화그룹, 삼성테크윈·삼성종합화학 등 4개사 인수 결의
- 삼성, 종합화학·테크윈 팔고 정밀화학·BP화학 남긴 배경은
- 삼성그룹, 내주초 사장단 인사… ‘빅딜’ 여파로 줄어들 듯
- 한화, 5개 계열사 대표이사 인사… “성과·역량·경륜 초점”
- 삼성, 화학·방산 4개 계열사 한화에 매각… 2조원대 초대형 빅딜
- 한화그룹 “삼성과 빅딜, 재무적 문제 전혀 없다”
- ‘빅딜’ 계열사 매각 진통 예상
- 산업부, 한화 ‘삼성테크윈·탈레스’ 인수 승인
- 공정위, 2조원 규모 한화-삼성 빅딜 조건부 승인
- ‘한화 매각 반대’ 삼성테크윈, 6일 오후 파업 돌입
- 삼성-한화 ‘빅딜’ 거센 노조 반발에 ‘휘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