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 서울역광장에서 개최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퇴투쟁에 참여한 조합원들이 ‘법외노조 통보 철회! 전교조 탄압 중단!’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항의서한 전달은 무산… 7월 12일 또다시 전국교사대회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대한 법외노조 판결 이후 교육계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교육부와 검찰, 고용노동부, 경찰청 등이 지난 26일 대책협의회를 열고 전교조의 조퇴투쟁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지만 전교조는 27일 오후 1시 30분부터 미리 예고한 일정에 돌입했다. 이날 조퇴투쟁은 지난 2006년 교원평가제 반대 이후 8년 만이자 법외노조 판결 이후 첫 대규모 시위다.

전교조는 27일 오후 서울 도심에서 교사 15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법외노조 철회’를 촉구하는 대규모 조퇴투쟁을 벌였다. 이를 위해 전교조 전국 각 지부 소속 조합원은 이날 오전 수업만 진행한 뒤 서울로 집결했다.

앞서 수도권 조퇴 투쟁 참가 조합원들은 이날 오후 1시 30분께 먼저 대국민 선전 퍼포먼스를 했다. 이들은 세종문화회관 앞 일대에서 ‘전교조를 지키자’는 문구의 홍보물을 들고 서울역으로 이동하며 거리 선전전을 펼쳤다.

오후 4시에는 전국에서 올라온 조퇴 투쟁 참가 조합원들이 서울역에서 전국교사결의대회를 열었다. 전교조는 결의문을 통해 “전교조를 법 밖으로 밀어내는 일은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을 무력화시키는 출발점”이라며 “이번 투쟁은 전교조를 넘어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투쟁이자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을 사수하는 투쟁”이라고 주장했다.

전교조 지부 대표자들은 이날 오후 항의서한을 전달하기 위해 청와대 민원실로 이동하려 했으나 경찰이 ‘1명만 허용한다’며 3차 해산명령까지 내리자 이를 기자회견으로 대신했다.

전교조는 이날 오후 6시 종각에서 노동·시민단체 회원 등이 함께하는 ‘교사시민결의대회’에 합류, 8시께 자진 해산했다. 전교조는 7월 12일에도 전국교사대회를 열고 대정부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교육부는 전교조 조합원의 집단적인 조퇴가 아이들의 수업권 및 학습권을 침해하고 교육혼란을 초래한다며 엄정 대응할 것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교조 측은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으려고 학교별 참여 인원을 2명 이내로 조정하고 수업이 있는 교사는 병가 처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미리 교환 수업을 했기 때문에 수업권을 침해하는 일은 없다”고 못 박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