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효율성 순위 추락이 큰 영향 미쳐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 순위가 지난해보다 4계단 하락한 26위를 기록했다. 2009년(27위)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22일 공개한 ‘2014년 국가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 경쟁력은 평가대상 60개국 가운데 26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국가경쟁력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22위를 유지했지 올해는 4계단이나 뒤처진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경제성과와 인프라 분야는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정부와 기업의 효율성이 크게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ㆍ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9위, 인구 2000만 명 이상 국가 중에서는 10위에 자리했다. 지난해보다 각각 2단계, 1단계 밀려났다. G20 국가 중에서는 8위를 기록해 지난해 7위에서 1단계 후퇴했다.
국가경쟁력 순위를 결정하는 주요 4개 부문 순위를 보면 한국의 경제 성과와 인프라는 각각 지난해 20위와 19위 수준을 지켰으나 정부 효율성은 20위에서 26위로, 기업 효율성은 34위에서 39위로 각각 추락했다.
MD는 한국 정부 효율성 분야의 경우 정부보조금(2위)과 재정수지(5위), 외환보유고(7위) 등은 강점이지만 관세장벽(58위)과 조세 회피가 경제를 위협하는 정도(57위), 고령화 위험(46위) 등이 약점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기업 효율성의 경우 연평균 근로시간(3위)의 순위는 높지만 회계감사의 적절성(59위)과 시장변화 적응성(56위), 노사관계 생산성(57위) 등은 최하위권에 속했다.
기업 효율성의 경우 연평균 근로시간(3위)의 순위는 높지만 회계감사의 적절성(59위)과 시장변화 적응성(56위), 노사관계 생산성(57위) 등이 약했다. 또한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 노동자의 권리는 세계 최하위 등급인 5등급으로 분류됐다.
미국과 스위스는 각각 2년 연속 1, 2위를 자리를 지켰으며 지난해 5위였던 싱가포르가 3위로 올라섰다. 일본은 지난해 24위에서 21위로 뛰어오르며 한국을 앞섰고, 중국은 21위에서 23위로 밀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