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정홍원 국무총리가 18일 해외 반출 우려가 제기된 진주 운석(사진)의 관리 방안을 지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세종청사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경남 진주 운석과 관련해 “운석을 발견자로부터 국가가 확보할 수 있는지,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국외유출을 통제하고 보존할 수 있는지 등 전반적인 관리방안을 검토해 마련하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총리가 이 같은 지시를 한 것은 진주 운석 발견 이후 외국인 운석사냥꾼 등이 현지에 출현하는 등 운석의 외국 반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정 총리는 미래창조과학부 주도의 대응 관리체계 정립과 부처 간 협업을 강조했다. 미래부는 운석 등 우주 자연 낙하물체에 대해 등록제를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전날 진주 운석의 보존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운석이 발견된 현장을 방문 조사했다. 문화재청 관계자 등이 현장을 방문해 운석 낙하지점을 확인하고, 구덩이 등을 측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진주 운석의 천연기념물 등 문화재 지정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운석 조기 유출에 대비해 국제공항, 항만 등에 통관검색 강화를 요청했다.
정치권도 해외 반출 차단 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경남 진주를 지역구로 둔 새누리당 박대출 의원은 지난 16일 문화재청에 진주 운석의 해외 반출을 막기 위한 긴급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민주당도 논평을 내고 “해방 후 최초로 우리나라에 떨어진 진주운석은 국내에서 최초로 소유권을 가지는 운석이고, 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보호조치가 시급하다”며 “특히 외국에서 운석 사냥꾼까지 입국을 했다고 하니, 해외반출이 되지 않도록 적극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진주 운석의 천연기념물 지정 움직임에 대해 비판적인 여론도 온라인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우주에서 떨어진 물체를 문화재로 지정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일부 네티즌 사이에선 정부가 진주 운석을 문화재 지정이라는 구실로 소유자로부터 헐값이나 강제로 입수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