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사진제공: 문화재청)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 등 7건 보물 지정 예고
한 쪽 다리 내리고 다른 한 쪽 다리 가부좌로 앉은 형식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두 다리를 가지런히 모아 엄숙한 자세와 인자한 얼굴로 우리를 맞이했던 기존의 불보살과 달리 한쪽 다리를 편안히 걸친, 가부좌를 벗은 우리의 문화재들이 보물이 된다.

한쪽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다른 한 쪽 다리를 편안히 가부좌로 앉은 유희좌(遊戱座) 형식을 띈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壁畵)’를 비롯해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등 7건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壁畵)’는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서 설법하는 관음보살(觀音菩薩)에게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법을 청하는 장면을 그린 작품이다.

벽면 전체에 걸쳐 크게 그린 유희좌(遊戱座: 불보살의 자세 중 한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다른 한쪽 다리는 편안히 가부좌로 앉은 모양)의 관음보살은 조선 후기 18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그러나 관음보살의 주처(主處) 보타락가산을 그리면서 특징적인 물결 표현을 생략하는 등 다른 사찰 후불벽 관음보살도에서는 볼 수 없는 표현형식으로 의미가 크다.

거대한 흙벽 화면에 높고 험준한 바위산을 배경으로 온화한 아름다움을 품은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達摩大師壁畵)’는 관음보살과 호방하고 대담한 달마대사를 대비시켜 그린 작품이다. 한 화면에 관음과 달마를 나란히 표현한 벽화의 유일한 사례이자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경의 불화양식을 보여주는 자료로 가치가 크다.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서울 普陀寺 金銅菩薩坐像)’은 당시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금동으로 제작된 상이다. 여성적 면모가 느껴지는 얼굴 표현과 착의(着衣) 형식은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등 조선 초기 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조선 초 왕실이나 지배층이 발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이다.

천의(天衣: 보살이나 비천 등이 입는 옷)를 어깨에 숄처럼 걸치고 가슴에서 띠 형태로 비스듬히 가로지르다가 한 자락을 수직으로 늘어뜨린 모습은 섬세하면서도 우아한 자태를 잘 보여준다.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서울 奉恩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조선 후기 1651년 조각승 승일(勝一)이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제작한 상이다. 본존 석가여래상은 1765년의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에 따르면 1689년 무렵 화재로 잃어 새로 조성해 좌우협시상에 비해 30cm 정도 크고 본래 상들과는 양식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난다.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과 개금문을 통해서 삼불(三佛)의 봉안과 개금에 참여했던 시주자들, 조각을 담당했던 조각승들을 알 수 있으므로 조선 후기 17세기 중후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서울 玉泉庵 磨崖菩薩坐像)’은 5미터가 넘는 대형의 마애상으로 상 전면이 흰색 조개가루인 호분(胡粉)이 칠해져 있어 일반적으로 ‘백의관음(白衣觀音)’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실적인 보살상의 얼굴 표현해 유려한 설법인(說法印)의 손 모양과 어깨에 드리워진 천의(天衣)의 표현 등에서 뛰어난 조각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고려 후기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면서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귀왕(鬼王), 판관(判官), 사자(使者), 동자, 인왕(仁王) 등이 잘 남아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조각승 영철(靈哲)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지장삼존상과 함께 시왕, 판관, 사자, 인왕 등 총 25구로 이루어져 있다. 당당한 신체와 율동적인 옷주름 묘사 등에서 수연(守衍), 영철로 이어지는 수연파의 작품 특징을 잘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유물 7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중 수렴된 각계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