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내년부터 사람의 비명을 알아채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가 전국에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또 사전에 입력된 생김새와 체형 등으로 실종자를 찾아내는 CCTV도 나와 어린이 등 실종자 찾기에 활용될 예정이다.
안전행정부는 각종 사건‧사고와 범죄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지능형 CCTV를 개발, 올해 시범 적용 후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이상음원 발생지역 집중관제 서비스’는 비명이나 자동차 충돌 소리, 유리창 깨지는 소리 등이 나면 소리감지장치가 이상 음원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한 후 해당 지역의 CCTV가 소리 나는 곳을 비춰 신속하게 현장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CCTV 통합관제센터’에 알람이 울리면 사고 상황 화면이 크게 깜빡거리고 경찰에 즉시 전파돼 현장출동이 이뤄진다. ‘CCTV 통합관제센터’는 시 군구가 설치‧운영하는 CCTV 관제기능(방범, 불법 주정차, 재난·재해, 주 차관리, 쓰레기 단속, 시설물 관리 등) 을 통합‧관리하는 시설이다.
‘실종 사회적 약자 찾기 서비스’는 어린이나 치매 노인, 지적장애인이 실종신고 되면 대상자의 생김새‧의상‧체형 등 주요 특징과 정보를 입력해 통합관제센터의 영상정보와 비교‧분석해 실종자를 찾아주는 시스템이다.
안행부는 충북 진천군과 부산 금정구에서 개발된 이 지능형 CCTV를 올해 해당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하고 난 뒤 그 결과를 반영한 서비스모델을 만들어 2015년부터 전국 통합관제 센터에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CCTV 통합관제센터를 통해 살인과 강도, 강간, 절도, 폭력 등 5대 강력 범죄 2718건을 포함해 1만 3440건의 사건을 처리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안행부는 지난 2012 년부터 ‘CCTV 지능화 사업’을 시행 중이다. 안행부는 청소년들의 월담, 배회, 싸움 등 이상행동을 감지하는 기술과 체납‧수배 차량 등 차량 번호를 CCTV가 인식해 시군구 세무서와 경찰서에 전파하는 기술을 이미 개발했다.
‘CCTV 통합관제센터’를 설치한 후 폭력‧절도‧방화 등 각종 범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경찰 과의 직접적인 연계로 즉각적인 범인 검거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국민을 각종 범죄나 사건·사고로부터 안전 하게 보호하기 위해 지능형 관제 서비스를 확대 도입하고 CCTV 통합관제센터의 역할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