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 ‘박원순 대항마’ 찾기에 골몰
安신당 후보 출마에 민주 ‘전전긍긍’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지방선거의 꽃’이라 불리는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여야의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서울시장은 국가 경영의 전반을 간접 경험할 수 있어 대권 도전의 디딤돌로 여겨지곤 한다.
특히 서울시장은 전국 시도 광역단체장 가운데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에 유일하게 배석할 수 있다. 그만큼 서울시장 선거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접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2년차를 맞아 열리는 만큼 현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띤 선거라고 볼 수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야권이 끊임없이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을 전면에 내세워 박근혜 정부의 정통성을 흔들고 있다고 보고 반드시 선거에 승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새누리당은 ‘박원순 대항마’ 찾기에 골몰한 상태다. 현재 여권에서는 정몽준 의원,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최고위원,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 가운데 출마 의사를 밝힌 인사는 이 최고위원뿐이다.
이미 물밑에서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내에선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를 놓고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경쟁력 있는 1인을 추대하는 분위기였으나 최근에는 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단 인지도와 정치적 무게감이 있는 후보를 내면 박 시장을 상대로 승산이 있다고 새누리당은 예측하고 있다.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각각 후보를 낼 경우 야권표가 분열돼 고정표가 있는 새누리당이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민주당은 박 시장의 재선 출마가 사실상 확정된 상태다. 당내 박 시장 외엔 마땅한 주자가 없는 데다 지지율 또한 확고해 박 시장의 후보 확정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박 시장 역시 당내 경선 과정을 거쳐야 하는 만큼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이 당원과 대의원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공직후보 선출방식을 바꿨기 때문이다. 당내 기반이 취약한 박 시장에겐 불리한 셈이다. 박 시장 외에 출마가 예상되는 후보군은 추미애·신계륜·박영선 의원 등이다.
무엇보다도 서울시장 선거의 승패를 좌우할 열쇠는 안철수 신당에서 후보를 낼 것인지 여부다. 현재로선 후보를 낼 가능성이 높다. 안 의원 측 무소속 송호창 의원은 여러 매체를 통해 “전국적인 선거를 한다고 하는데 서울시를 빼고 한다고 하는 것은 사실은 어불성설이 되지 않겠느냐”라고 밝혀온 바 있다.
안철수 신당의 유력한 후보로는 이계안 ‘새정치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과 원희룡 전 한나라당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경쟁하면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안겨줄 공산이 크다고 대다수 야권 인사가 우려하는 만큼 앞으로 안 의원이 어떤 행보를 펼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