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 인류의 반려동물, 염원과 권위를 태우다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기원전 69년 경주 알천에서 6촌의 장들이 모여 군주 선출을 의논하고 있을 때 남쪽 양산 밑 나정에 백마가 무릎을 꿇고 있다가 하늘로 승천했다.
그 자리는 큰 알이 있었고 그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났다. 한반도 역사에서 천년왕국을 일궜던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탄생을 알렸던 백마.
지혜의 왕이라고도 불리는 박혁거세의 탄생신화에서 보듯 우리 선조에게 ‘말’은 사람과 사람을, 신과 사람을 이어주는 대리자 즉 사자(使者)라는 의미가 강하다.
오는 2014년은 갑오년 말띠의 해, 청마의 해다. 말은 이면적으로 영적인 뜻도 있지만 표면적으로도 ‘진취적인’ 인상이 강하다. 여기에 도전적이고 강한 힘을 상징하는 청색을 띠어 그 어떤 말의 해보다 강인한 열정을 엿볼 수 있다.
조용한 성격의 초식동물이지만 자신의 새끼가 적과 대치하면 거침없이 싸워 가족의 안전을 쟁취하는 말. 한반도 역사와 문화 속에서 갑오년의 주인공 말에 대해 알아보자.
말은 인류의 오랜 반려동물로 인간에게 길들여지는 과정을 거쳐 식용에서 승용으로 활용됐다. 유물 ‘말 머리뼈’ ‘마테우리’ ‘재갈’ ‘편자’ 등에서 야생마가 길들여지는 과정과 말의 습성을 파악하고 교감을 나누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승용이 주목적이었던 시기의 말은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관리 대상이었다. 신분이 높은 사람만이 말을 탈 수 있었고 말 한 필이 노비 2~3명과 맞바꿀 정도다.
이 때문에 말은 탄 사람의 신분과 권위를 태우고 말을 탄 사람의 염원까지 태웠다. 이는 유물 ‘신마부’ ‘곤마도’ ‘유하마도’ ‘등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말은 또 고종과 순종 국상의 죽산마, 죽안마 및 상여 장식과 무덤 안팎의 장식을 통해 망자의 영혼을 태워 보내는 의미도 보태졌음을 알 수 있다. 또 박혁거세 신화나 아기장수 전설 등에서와같이 지도자의 탄생을 미리 알리는 전달자의 존재로도 인식된다.
지구상 여러 동물 중 인간과 동물의 친밀한 교감을 통해 한 몸처럼 움직이는 동물은 말이 유일하다.
19세기 말 이래 말은 승용이라는 제 기능을 점차 상실해 그 역할을 기차나 승용차 등에 넘겨주고 이제는 경마 등 레저오락용으로 축소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의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말표 신발과 구두약, 유아용 말 구르마 등에서 건각의 상징을 찾을 수 있다. 다만 말과 교감이 점차 단절됨에 따라 전통시대의 영혼‧신의 승용, 신의 대리자로서 말에 대한 이면적 상상력이 더 이상 창조되지 않는 것은 애석한 일이다.
이에 사람과 말의 소통을 유물로 말해주는 특별한 전시가 2014년 2월 17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Ⅱ에서 진행된다.
‘힘찬 질주, 말’ 특별전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는 우리 선조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했던 말의 다양한 면모를 느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