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도읍(왼쪽)·강은희 의원이 10일 오후 국회 의안과에 대선불복 발언을 한 민주당 장하나 의원과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을 언급하며 박근혜 대통령도 선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한 민주당 양승조 최고위원의 징계안을 제출하고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여야 공방에 정국 급랭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올해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10일도 민주당 양승조, 장하나 의원의 막말 논란에 따른 공방으로 시끄러웠다. 두 의원의 출당과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새누리당과 이에 반발하는 민주당의 설전이 계속됐다. 새누리당이 국가정보원 개혁특별위원회 보이콧이란 강수를 두면서 국회 의사일정이 파행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전날 두 의원의 출당조치를 요구했던 새누리당은 이날도 파상공세를 이어갔다. 급기야 국정원 개혁특위 불참 카드를 꺼내들면서 야당을 압박했다. 두 의원에 대한 징계안도 국회에 제출했다. 의사일정 중단 배수진으로 충돌하던 여야는 같은 날 오후 양당 원내대표-원내수석부대표 간 4인 회동을 통해 국회 정상화에 가까스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양승조 의원을 겨냥, “인간적 아픔을 찌르고, 저주로 볼 수밖에 없는 극한적인 공격이나 비판을 퍼붓는다면 이것은 결국 국민에게 극도의 혐오감과 깊은 상처를 남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양 의원이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암살을 거론하며 박근혜 대통령이 선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한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같은 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 양승조 최고위원과 장하나 의원의 발언은 정치적 금도를 넘어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와 예의도 져버린 비수고, 화살이었다”고 맹비난했다.

초선의원들도 대야공세에 동참했다. 손인춘 의원 등 초선의원 19명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초선의원의 망발에서 시작돼 전체 의사로 확산되고 최고위원의 암살 협박에 이른 지금 민주당의 계산된 불복 시나리오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고 향후 어디로 갈지 예상할 수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의 이 같은 공세는 과잉반응이라며 반격에 나섰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대통령 위해를 선동조작 한다고 확대해석해서 과잉 대응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더 위험한 행태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파문의 당사자인 양승조 의원은 여당의 공세를 “왜곡과 침소봉대의 극치”라며 반박했다. 그는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