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제7차 남북 당국실무회담이 14일 열린다. 이번 회담은 개성공단 존폐의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내 기업들에 대해 경협보험금 지급을 결정한 만큼 양측 모두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다. 막다른 골목인 셈이다. 일각에선 한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앞두고 북한이 적극적인 태도로 회담을 제안한 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예견하기도 한다. 그러나 핵심 쟁점에 대해 북한이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고는 개성공단의 파국을 피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회담은 6차에 걸쳐 열렸지만, 모두 되돌이표로 끝났다. 회담을 무산시킨 최대 쟁점은 개성공단 사태의 책임 인정과 재발 방지 약속이었다. 북한은 이 같은 요구를 거부한 채 오히려 우리 정부에 ‘남측은 일체 정치적 언동이나 군사적 위협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요구해왔다. 지난달 25일 6차 회담에선 북측 대표단이 우리 대표단에 대한 막말과 돌출행동을 하는 볼썽사나운 모습도 연출했다. 한발 더 나아가 북한군이 개성공단을 재점령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이번 7차 회담 결과도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전망과 북측의 의도를 둘러싼 의견은 분분하다. 북한이 그동안 보여줬던 협상 태도로 볼 때 7차 회담에서도 별반 달라질 것은 없어 보인다. 북한은 7차 회담 관련 회신문에서 “우리의 아량과 대법한 제안에 찬물을 끼얹는 말은 삼가 달라”고 해 북측의 전향적 태도를 기대하던 우리에게 찬물을 끼얹었다. 북한의 7차 회담 제안 자체가 개성공단 파행의 책임을 남측에 돌리려는 정략적 의도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북한의 기존 입장 고수는 곧 개성공단의 파국이나 다름없다. 적반하장 식 태도를 버리고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한다. 개성공단 사태의 책임과 재발 방지 약속이 이번 회담의 본질인 만큼 북한이 이를 더는 외면해선 안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