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4대원칙 어기면 미래부 제안 수용 못해”

▲ 염홍철 대전시장.  ⓒ천지일보(뉴스천지)

시민단체 “빈껍데기 만드는 정부 방안 중단해야”

[천지일보 대전=김지현 기자] 최근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전시에 제시한 ‘대덕특구 창조경제의 전진기지 재창조와 과학벨트’ 방안에 대해 10일 대전시가 “4대 원칙을 어기면 수용 못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미래부의 이번 제안에 대해 민주당 충청권 4개 시도당위원장과 대전참여연대 등 대전 지역 시민단체들도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나섰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10일 ‘정부의 과학벨트 조성방안’과 관련 “대덕특구를 향후 50년 이상 대전발전을 견인할 창조경제의 국가성장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차원에서 검토돼야 한다”면서 “대전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에서 미래부와의 협상에 임해 달라”고 강력히 지시했다.

염 시장은 이날 실․국장과의 주간업무회의에서 “어제 미래부의 제안내용에 대한 부정적 반응은 부지매입비 떠넘기기라는 시각을 비롯해 과학벨트 축소 우려, 창조경제 집적시설에 대한 구체성 미흡 등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시민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을 주문했다.

특히 염 시장은 미래부와의 협상전략과 관련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엑스포 과학공원 입주를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한다”며 이미 고시된 과학벨트 부지 104만 평에 대해선 축소가 불가하며 예정부지 내 ‘부지매입비에 대한 전액국고 부담’ 등을 대원칙으로 제시했다.

또 염 시장은 “창조경제 핵심시설에 대한 구체적 내용 제시도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사이언스센터 및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용도 및 규모뿐만 아니라 예산까지도 명시돼야 하고, 대전시가 건의 예정인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도 최대한 수용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염 시장은 이어 “창조경제와 과학벨트 조성, 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는 분리할 수 없는 연계사업이다. 앞서 제시한 4대 원칙들을 반드시 지키고 이뤄내야 한다”며 정부와의 협상력 제고를 거듭 강조하며 “향후 철저한 여론수렴 과정도 소홀히 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한선희 과학문화산업본부장은 “이 4가지 원칙이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면 미래부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하겠다. 대정부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10일 민주당 충청권 4개 시도당위원장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설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부의 창조경제 추진방안은 과학벨트를 빈껍데기로 만들어 애물단지로 전락시킬 수 있는 만큼 당장 중단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과 박수현 충남도당위원장, 이춘희 세종시당위원장, 김종률 충북도당위원장은 “과학벨트 기본계획에 기초과학연구원 부지가 둔곡지구로 명시돼 있음에도 정부가 기초과학연구원의 입지를 엑스포과학공원으로 옮기려 하는 것은 과학벨트를 당초 예정대로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들은 “정부의 창조경제 추진방안대로라면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면적이 축소돼 중이온가속기만 덜렁 남는 빈껍데기가 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충청권에 조성될 기능지구 역시 성공적인 건설을 담보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면서 “과학벨트는 애물단지가 될 수밖에 없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한편 대전참여연대 등 대전 지역 시민단체도 미래부의 이번 제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대전참여연대는 “엑스포과학공원에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들어오면 과학벨트의 기능과 역할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면서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 전액 국가 부담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