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서울 용산구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아주 특별한 설문 조사가 이뤄진다. 용산구(구청장 성장현)가 자치구에서는 처음으로 지역 장애인들의 복지 욕구와 실태를 직접 파악하기 위해 나섰다.
그동안 정부의 장애인 실태 조사 외에 자치구에서 자체 계획을 가지고 장애인 실태 조사를 직접 진행하는 것은 용산구가 최초다.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실태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이뤄져, 각 자치구별 실정에 맞는 장애인 맞춤 재활 서비스 정책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용산구는 지난해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올해부터 용산구만의 장애인 실태 조사를 계획, 시행하게 됐다.
신뢰도 높은 통계 자료를 위해 이번 설문 조사는 1천명을 표본으로 추출하고, 인적 사항, 장애 등록 여부, 경제 활동 형태, 소득원 등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유형별 조사도 병행해 이뤄진다.
특히 설문 표본은 장애 등급별→동별로 추출해 장애 유형별, 지역별로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조사를 위해 용산구는 별도 T/F팀을 구성했다. 이번 용산구 장애인실태조사 T/F팀에는 외부 전문가인 김형모(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비롯해 지체장애인협회, 농아인협회, 중증장애인독립생활연대, 용산구립장애인복지관, 용산구청 사회복지과 등 유관 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현재 T/F팀에서 작성한 설문지는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 용산구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총 32개의 질문으로 구성돼 있다. 개인적인 불편과 여가 및 사회 참여, 직업 상태 및 직업 재활, 여성 장애인 대상 서비스 지원, 중증 장애인 자립 지원, 용산구 복지 실태 및 복지 향상을 위한 제안 등이 담겨 있다.
특히 설문지의 신뢰도와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만들어진 1차 설문지를 독립생활연대에서 미리 샘플링해보고, 일부 항목과 내용을 수정하는 등 각별히 신경을 기울였다.
설문 조사는22일부터 6월말까지 중증장애인 및 보호자-조사원 간 1:1 방문 형식으로 이뤄진다. 조사원들은 대학생들과 장애인 단체 종사자가 맡았다. 조사원 수만 1천여 명에 달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역 장애인들의 복지 서비스 상황 및 욕구를 파악하고 지역 사회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중증장애인들과 보호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실태조사가 될 수 있도록 설문지 작성과 결과 분석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용산구 장애인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시나 다른 복지 기관과 연계해 장애인 복지 업무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2년 12월 기준 용산구 전체 장애인수는 9225명으로, 지체 4675명, 뇌병변 1049명, 시각 1048명, 청각 1005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