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뉴시스] 삼성의 '급식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28일 삼성전자와 삼성웰스토리 본사를 압수수색해 급식 공급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사진은 28일 압수수색이 진행중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 모습. 2022.03.28.
[성남=뉴시스] 삼성의 '급식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28일 삼성전자와 삼성웰스토리 본사를 압수수색해 급식 공급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사진은 28일 압수수색이 진행중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성웰스토리 본사 모습. 2022.03.28.

이재용, 웰스토리 100% 보유한 삼성물산 최대주주

웰스토리, 삼성그룹 내 급식 물량 몰아받기 의혹

공조부, 강제수사 앞서 검사 파견받는 등 착실 준비

[천지일보=홍수영 기자] 검찰이 삼성그룹의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과 관련 28일 삼성웰스토리와 삼성전자를 압수수색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 승계 의혹을 정조준한 것으로 해석된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고진원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경기 성남시 분당에 소재한 웰스토리 본사와 경기 수원 삼성전자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6월 삼성웰스토리에 사내 급식 물량을 몰아주고 높은 이익률이 보장되도록 계약구조를 설정해 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등 4개사와 삼성웰스토리에 과징금 2349억원을 부과하고, 삼성전자와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공정위는 삼성전자 등 4개사가 지난 2013년 4월부터 심의일인 지난해 6월 2일까지 사내급식 물량 전부를 웰스토리에게 수의계약 방식으로 몰아주면서, 식재료비 마진 보장, 위탁수수료로 인건비의 15% 추가 지급(전기 10%), 물가·임금인상률 자동 반영 등의 계약구조 설정을 통해 웰스토리가 높은 이익을 항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판단했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4일 오후 열흘 간의 미국 출장길을 마치고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마친 뒤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0조원 규모의 파운드리(시스템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신설하겠다고 최종 발표했다. ⓒ천지일보 2021.11.24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11월 24일 오후 열흘 간의 미국 출장길을 마치고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마친 뒤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0조원 규모의 파운드리(시스템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신설하겠다고 최종 발표했다. ⓒ천지일보 2021.11.24

이와 관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최 전 실장 및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을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 사건이 관심을 모으는 것은 이 부회장의 관계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삼성웰스토리의 지분을 100% 소유한 삼성물산의 최대주주다. 삼성물산은 이 부회장의 불법 승계 의혹에서 핵심 역할을 한 계열사다.

삼성물산의 주식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고 제일모직은 ‘뻥튀기’ 되면서 합병 과정으로 이 부회장이 이득을 취했다는 게 불법 승계 의혹의 핵심이다.

옛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이후 삼성물산이 최초로 공시한 지난 2015년 9월 분기 보고서를 보면, 삼성물산 전체 영업이익의 74.76%가 웰스토리로부터 발생했음이 확인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래미안. (출처: 삼성물산)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래미안. (출처: 삼성물산)

이처럼 삼성웰스토리는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순이익의 67%에서 최대 114%까지 삼성물산에 배당했다. 이를 통해 2015~2019년 삼성물산이 벌어들인 금액은 2758억원이다.

이에 공정위는 삼성웰스토리가 단체급식 내부거래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을 바탕으로 총수 일가의 핵심 자금조달창구(Cash Cow)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판단했다.

검찰이 이 사건을 예의주시한다는 사실은 최근 움직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사건을 수사하는 공정거래조사부는 최근 검사 6명을 추가 파견 받아 부서 내부 팀을 2개에서 3개로 늘렸다. 파견 검사 중엔 특수수사를 전담하는 반부패부 검사가 2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움직임은 검찰이 기업 대상 수사를 확대한다는 신호로 해석됐고, 실제로 삼성과 이 부회장을 겨냥한 강제수사가 이날 이뤄진 것이다.

이날 압수수색에 앞서 검찰은 삼성웰스토리 급식 몰아주기와 관련된 4개사 전부를 압수수색하기 위한 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이 기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키워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