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무역.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엔화 6년 만에 1달러당 120엔대로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엔·달러 환율이 치솟자 국내 산업계에 미칠 파장이 조명받고 있다. 일본과 수출 경쟁을 하는 국내 산업 특성상 엔화의 가치가 하락하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권과 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장중 122.40엔을 기록하며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엔·달러 환율이란 1달러를 몇 엔으로 살 수 있는가 하는 비율이다. 또 국내 외환시장에선 원/엔 환율이 100엔당 1000원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 하나인 엔화는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 위기 상황에서 매입 수요가 늘어 통상 강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변수에도 미국-일본 간 통화정책 차별화와 일본 정부의 추가 경기 부양책으로 기대감이 영향을 줘 약세를 보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이 8% 수준인 물가상승률을 줄이기 위해 금리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일본은 통화정책 완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양국 간 금리차가 벌어져 엔화 약세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그간 엔화 약세는 일본의 수출 기업에 유리하고, 한국 기업에는 불리한 것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엔·달러 환율이 80엔에서 120엔으로 오른 지난 2010년대에는 한국 기업들이 고전하기도 했다.

다만 최근 엔저 현상은 우려할 단계가 아니라는 분석이 많다. 엔저와 원유가격 상승이 병행하면서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일본 경제에 부담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업계 관계자들은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면서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 폭도 치솟고 있다며 엔화 약세에도 일본 경제가 당분간 부진할 것이고 일본 기업들의 마진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한-일 수출경합도가 높은 일본의 석유화학, 철강, 기계, 자동차 등 업종이 ‘엔저 영향권’에 들어갈 경우 국내 기업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반면 한국이 우위에 있는 통신기기나, 메모리 반도체, 조선업종 등은 주력 품목이 달라 피해가 적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