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시간) 새벽 우크라이나 키예프 남부 외곽 상공에서 큰 폭발이 일어난 장면. 뉴욕타임스(NYT)가 확인한 이 영상에는 미사일이 최소 2개 이상 발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트위터, NYT)
25일(현지시간) 새벽 우크라이나 키예프 남부 외곽 상공에서 큰 폭발이 일어난 장면. 뉴욕타임스(NYT)가 확인한 이 영상에는 미사일이 최소 2개 이상 발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트위터, NYT)

국내기업 최대 2조 긴급지원

유럽 금융당국과 공조 강화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 경제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국내 금융당국 수장들이 국내외 시장 상황을 점검하며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 기업의 자금난 방지를 위한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대 2조원 규모로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고 위원장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시각각 급변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환율은 상승해 달러당 12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고 글로벌 긴축 등 대외리스크가 점증하는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적시에 탐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외 출장 중인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역시 비상금융시장 상황점검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대내외 리스크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정 원장은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이미 마련해놓은 비상 대응계획에 따라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며 “위기 상황에서 파악된 업권별 취약분야에 대한 우선적 안정화 조치 시행과 단기 금융시장 및 외화자금시장에 대한 집중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우크라이나 관련국과 무역 관계가 크거나 석유, 천연가스, 곡물 등 수입 관련 기업의 자금흐름을 점검·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현지 주재원, 유학생 등을 위한 비상금융애로상담센터도 즉시 가동하기로 했다.

현재 해외 출장 중인 정 원장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BOE) 총재, 롭 파우버 무디스 회장 등을 만나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증대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가 금융시장 불안과 실물경제 악화로 급속하게 전이될 상황에 대비해 최고위급 핫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공조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