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기업 최대 2조 긴급지원
유럽 금융당국과 공조 강화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 경제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국내 금융당국 수장들이 국내외 시장 상황을 점검하며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 기업의 자금난 방지를 위한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대 2조원 규모로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고 위원장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시각각 급변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환율은 상승해 달러당 12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고 글로벌 긴축 등 대외리스크가 점증하는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적시에 탐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외 출장 중인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역시 비상금융시장 상황점검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대내외 리스크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정 원장은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이미 마련해놓은 비상 대응계획에 따라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며 “위기 상황에서 파악된 업권별 취약분야에 대한 우선적 안정화 조치 시행과 단기 금융시장 및 외화자금시장에 대한 집중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우크라이나 관련국과 무역 관계가 크거나 석유, 천연가스, 곡물 등 수입 관련 기업의 자금흐름을 점검·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현지 주재원, 유학생 등을 위한 비상금융애로상담센터도 즉시 가동하기로 했다.
현재 해외 출장 중인 정 원장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BOE) 총재, 롭 파우버 무디스 회장 등을 만나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증대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가 금융시장 불안과 실물경제 악화로 급속하게 전이될 상황에 대비해 최고위급 핫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공조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 고승범 “우크라 사태 장기화 가능성… 필요 시 최대 2조 긴급 지원”
- 고승범 “우크라 사태 장기화 가능성… 필요 시 최대 2조 긴급 지원”
- 코로나 금융지원 ‘착시 효과’에… 지난해 말 은행권 연체율 또 ‘역대 최저’
- 코로나 금융지원 ‘착시 효과’에… 지난해 말 은행권 연체율 또 ‘역대 최저’
- 금융위, 카드수수료 적격비용 제도 개편 논의… TF에 노조 빠지면서 잡음
- 금융위, 카드수수료 적격비용 제도 개편 논의… TF에 노조 빠지면서 잡음
- 작년까지 가계빚 1862조원 또 최대 경신, 134조원 불어나… 강력 규제로 4분기↓
- 작년까지 가계빚 1862조원 또 최대 경신, 134조원 불어나… 강력 규제로 4분기↓
- 금융위, 소상공인 만기연장·상환유예 또 연장한다… 금융권 합의 후 결정
- 금융위, 소상공인 만기연장·상환유예 또 연장한다… 금융권 합의 후 결정
- 우크라 사태에 韓 반도체·자동차 먹구름
- 우크라 사태에 韓 반도체·자동차 먹구름
- 고승범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추진”
- 고승범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추진”
- 우크라 사태에 원자재 국산화 속도… 네온, 하반기 국내서 생산·공급
- 우크라 사태에 원자재 국산화 속도… 네온, 하반기 국내서 생산·공급
-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금융당국 “자영업자 부채 해결해 부실 최소화”
-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금융당국 “자영업자 부채 해결해 부실 최소화”
- 고승범 금융위원장 “마이데이터, 빅테크·의료 등 비금융 분야로 확대돼야”
- 고승범 금융위원장 “마이데이터, 빅테크·의료 등 비금융 분야로 확대돼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