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강은영 기자] 2021년도 국세수입 현황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 2022.2.1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2/798198_819149_0805.jpg)
2차 추경 대비 30조원 초과세수 발생
본예산 대비로는 61조원
양도세·상속증여세 등 부동산 세수 증가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해 국세가 당초 정부 전망치보다 30조원 가까이 더 들어왔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세금폭탄’을 안긴 데다 부동산시장 예측 실패까지 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 세수 오차를 초래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1 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수입 실적은 약 344조 1천억원으로 2차 추가경정예산 당시 전망치(314조 3천억원)보다 29조 8천억원 늘었다.
이는 당초 정부가 편성한 지난해 본예산(282조 7천억원)과 비교하면 61조 4천억원 늘어난 수치다.
세목별로 보면 부동산 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양도소득세(36조 7천억원)가 2차 추경 대비 11조 2천억원 더 걷히면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종합부동산세(6조 1천억원) 역시 6조원 넘게 걷혀 2차 추경 당시 예상보다 1조원 늘었다. 여기에 증여세까지 포함하면 부동산 관련 세수만 14조원 증가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증권 거래가 활황을 이어가면서 증권거래세(10조 3천억원)도 2조원 가까이 더 들어왔다. 지난해 경기 회복세가 이어진 영향으로 법인세와 부가가치세도 각각 4조 8천억원, 1조 9천억원씩 증가했다. 2020년과 비교하면 58조 5천억원이 늘었다. 특히 양도소득세·종부세·증여세 등 부동산 관련 세수는 전년 대비 17조 2천억원이나 급증했다.
이같이 대규모 세수 추계 오차가 발생한 것은 정부가 자산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예상보다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세와 부동산 시장 요인 등으로 세수 추계에 활용한 경제지표 전망치에 오차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 관련 세수의 경우 상승세는 둔화했으나, 추경 이후 시장이 안정화할 거란 정부의 전망과는 차이가 있었다”고 예측 실패를 시인했다.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2.02.07](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2/798198_819150_0805.jpg)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에도 주택 거래가 급증하면서 양도세수가 당초 예상을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늘어났다. 주택가격과 종부세율, 공시가격 현실화율 등이 일제히 올라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세금 부담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정부는 “지난해의 경우 경제지표가 급변하고 세수가 급증하면서 세수추계 모형의 설명력이 저하되는 특수한 시기였다”면서 “2020년 이전의 경우 추계 시 세수 실적 근사치가 도출되는 등 설명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시장 예측이 어려웠던 만큼, 세수 추계 작업에도 한계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향후 정부는 세수추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계 모형을 재설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대규모 오차의 원인으로 지목된 경제지표에 대해서는 단일 기관의 전망치가 아닌 복수 연구기관의 전망치를 고려하고, 자문 연구기관도 민간 부문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변동성이 높은 부동산이나 금융시장의 경우 전문가 자문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세제실장이 주재하는 조세심의회를 도입하고, 기재부 세제실→기재부→징수기관→외부 전문가 검증으로 이어지는 4단계 의사결정 모형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경제지표 변화를 제때 반영하기 위해 세수 추계 주기를 늘리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종합소득세 신고 직후인 6월, 부가가치세 신고 직후인 8월에 세수를 재추계하고, 8월 세입예산안 편성 이후 11월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필요할 경우 재추계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부동산공시가격센터장 유경준 의원은 “양도세, 상증세, 종부세 등 부동산 관련 세수가 급증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때문”이라며 “증권거래세도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집을 구매하지 못하니 주식에 자금이 몰렸기 때문에 늘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역대급 세수추계 오차의 주원인은 실패한 부동산 정책인데도 문 대통령은 ‘세수추계 오차는 경제가 활성화된 결과’라며 현실과 동떨어진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법인세 증가도 정부 예측보다 코로나 위기를 잘 견딘 기업 노력의 결과이지 정부의 정책 효과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세수추계 대형 오차는 文정부 부동산 실패 때문”… 양도세, 예측치보다 2배 많이 걷혀
- “세수추계 대형 오차는 文정부 부동산 실패 때문”… 양도세, 예측치보다 2배 많이 걷혀
- ‘작년 세수풍년’ 연간 323조 국세수입, 신기록 세웠다… 예상치보다 9조원 더 걷어
- ‘작년 세수풍년’ 연간 323조 국세수입, 신기록 세웠다… 예상치보다 9조원 더 걷어
- [경제in] 文정부 역대급 초과세수 원인이 빠른 경제회복세? 세금폭탄·부동산 예측 실패
- [경제in] 文정부 역대급 초과세수 원인이 빠른 경제회복세? 세금폭탄·부동산 예측 실패
- 작년 걷은 자산세 68조원, 文정부 들어 2.4배↑… “부동산 정책 실패·징벌적 과세 때문”
- 작년 걷은 자산세 68조원, 文정부 들어 2.4배↑… “부동산 정책 실패·징벌적 과세 때문”
- [금융in] 지난해 14조 실적 기록한 4대 금융… 올해 악재에 최대 실적 미지수
- [금융in] 지난해 14조 실적 기록한 4대 금융… 올해 악재에 최대 실적 미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