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계종, 대선 앞두고 대규모 집회 강행
불교시민사회 “파당 짓는 정치권승 막아야”
“권승들, 시민사회 무시하고 정교 유착”
[천지일보=김민희 수습기자] “수행자의 권위가 담긴 승복을 입은 이들이 정치인의 정치생명을 끊으라고 요구하는 모습은 자비문중이라는 말이 무색합니다.”
김경호 지지협동조합 이사는 지난 13일 서울 중구 장충동 우리함께빌딩 2층 기룬에서 만해불교청년회․바른불교재가모임․신대승네트워크 등 불교사회단체들의 주최로 열린 ‘대통령선거와 불교’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토론회는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원행스님)이 오는 21일 전국승려대회, 내달 말일 범불교도대회 등 대규모 집회를 강행하는 것과 관련해 불교의 현재의 모습을 점검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삼고자 마련됐다.
김 이사는 “이번 20대 대선에서 불교 시민사회는 조계종 승려들의 강압적인 정치권 압박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마주쳤다”며 “(조계종은)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의 발언을 문제 삼아 당 차원의 징계와 출당조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정 의원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문화재 관람료를 ‘통행세’로 사찰을 ‘봉이 김선달’로 비유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
김 이사는 애초에 이 사건은 극단으로 치달을 주제가 아니었다고 했다. 그는 “당 대표와 대선후보의 사과로 갈등을 봉합하려던 조계종 총무원은 중앙종회로부터 보이콧을 당해버렸다”며 “중앙종회는 민주당사를 찾아가 항의 집회를 열며 강경 태도를 고수하고 급기야는 승려대회와 범불교대회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조계종단을 보면 공조직은 무력화되고 배후에서 모든 일이 결의되고 조직되고 있다”며 “파당을 지어 사적 이해를 추구하는 정치 권승을 막아내는 일이 승가 공동체 모두에게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이날 ‘2022 대선에 대한 불교계의 정책 제안’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정의평화불교연대 이도흠 공동대표는 “문화재 관람료는 불교계 시민사회에서도 불합리하다고 보고 폐지하거나 사찰 탐방자에 국한해야 한다는 공론을 조성하고 있었다”며 “권승들과 대형사찰의 스님들이 탐욕에 휘둘려 시민사회와 공론장을 무시하고 종교와 정치 사이의 유착을 강화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 공동대표는 ‘정교유착’과 관련해 “종교와 정치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중요한 것은 국가와 종교, 시민사회 사이의 상호견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선 국면에서 불교 시민사회는 공론장을 형성해 현재 중생들의 고통과 번뇌의 원인에 대해 살피고 모든 중생들이 깨달음의 길로 갈 수 있는 대안을 정책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5000명’ 모이는 전국승려대회 앞두고 식지 않는 논란
- ‘5000명’ 모이는 전국승려대회 앞두고 식지 않는 논란
- [종교포커스] 불교계 분노케 한 文정권의 이것… 스님들은 왜 들고 일어섰나
- [종교포커스] 불교계 분노케 한 文정권의 이것… 스님들은 왜 들고 일어섰나
- “승려대회 취소해야 합니다”… 조계종 스님·불자들의 읍소
- “승려대회 취소해야 합니다”… 조계종 스님·불자들의 읍소
- [천지포토] 불교시민사회단체, 전국승려대회 반대 기자회견
- [천지포토] 불교시민사회단체, 전국승려대회 반대 기자회견
- [천지포토] ‘지금 승려대회는 아니라고 봅니다’
- [천지포토] ‘지금 승려대회는 아니라고 봅니다’
- 전국승려대회 D-2… 불교단체 “비법적 집회, 지금이라도 취소해야”
- 전국승려대회 D-2… 불교단체 “비법적 집회, 지금이라도 취소해야”
- ‘봉이 김선달’ 발언에 성난 불심… 與 승려대회 참석으로 불교계 달래기 나서
- ‘봉이 김선달’ 발언에 성난 불심… 與 승려대회 참석으로 불교계 달래기 나서
- “文정부 종교편향 사죄하라”… 오늘 스님 5000명 조계사 모인다
- “文정부 종교편향 사죄하라”… 오늘 스님 5000명 조계사 모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