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현금.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소비가 줄고 각종 페이 등 간편 결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지폐의 유통수명이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수명이 가장 긴 화폐는 5만원권으로 14년 10개월로 조사됐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 유통수명은 1년 전보다 평균 1~4개월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유통수명은 제조된 신권이 한은 창구에서 발행된 이후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손상돼 폐기에 이르기까지 소용되는 기간을 말한다.

은행권 용지 자체의 내구성, 화폐 사용습관, 사용 빈도에 따라 결정되며 액면가가 낮을수록 짧아지는 특징이 있다. 저액권의 경우 물품·서비스 구매, 거스름돈 등의 용도로 자주 쓰이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5만원권의 유통수명은 1년 전(14년 6개월)보다 4개월 늘어 178개월(14년 10개월)로 가장 길었다. 1만원권과 1000원권은 1개월씩 늘어나 각각 131개월(10년 11개월), 61개월(5년 1개월)로 집계됐고, 5000원권은 3개월 늘어난 63개월(5년 3개월)이었다.

한은은 은행권의 수명이 이처럼 늘어난 배경으로 비현금 지급수단 사용 확대와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거래 확산 등을 꼽았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했던 지난해에는 은행권의 유통수명이 큰 폭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