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왼쪽)과 중국 업체가 생산한 불닭볶음면 모조품. (출처: 한국식품산업협회) ⓒ천지일보 2022.1.4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왼쪽)과 중국 업체가 생산한 불닭볶음면 모조품. (출처: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식품산업협회, 中 모조품 대응 지식재산권 수호 나서

[천지일보=조혜리 기자] 중국이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것일까. 김치부터 지식재산권까지 한국의 모든 것을 베끼기에 바쁘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삼양식품, CJ제일제당, 대상, 오뚜기와 함께 K-food 모조품 근절을 위한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중국 최대 K-food 모조품 생산·유통기업인 청도태양초식품 등을 상대로 IP(지식재산권)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은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특허청 및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의 협조를 받아 진행됐다.

중국 청도태양초식품과 정도식품은 국내 유명 식품기업의 유통벤더로 활동하면서 ‘사나이’라는 한글이 적힌 불닭볶음면(삼양식품) 모조품을 생산해 중국 전역에 유통했다. 다시다·하얀설탕·꽃소금(CJ제일제당), 미원·멸치액젓·청정미역(대상), 옛날당면(오뚜기) 등도 베꼈다. 이 같은 9종의 모조품이 중국 전역에 온·오프라인으로 유통·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이에 협회와 협의체 참여기업은 상표권 등 침해소송을 동시 제기했다. 그동안 개별 기업이 중국의 모조품에 대한 행정 단속을 시도한 적은 있었지만 공동으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대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국내 식품 기업 공동대응은 K-food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강력한 대응 선례를 만들어 중국에서 K-food 모방제품을 생산·유통하는 업체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해 기획됐다. 또 소송을 공동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대측의 악의성을 입증해 소송 승소확률을 높이는 동시에 ▲소송 경험이 풍부한 기업의 노하우를 후발 기업에게 전수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효율 협회 회장은 “이번 소송은 국내외 시장에서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식품업계 주요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뭉쳐 공동 대응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IP 침해대응의 성공사례가 창출될 수 있도록 소송 승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은 김치·한복도 자국의 고유문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모든 것은 중국에서 시작됐다는 중화사상의 문화공정으로 한국 문화 베끼기가 도를 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