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우리나라 경상수지 상당 부분이 급속한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곧 고령화로 인해 저축인구 비중이 높아진 영향이 컸으며, 이에 경상수지 흑자는 당분간 약화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30일 한국은행 조사국 주욱·민은지 과장, 안희정 조사역이 분석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00년 이후 흑자 기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2012년부터 흑자폭이 크게 확대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2000~2011년 평균 1.5%에서 2012~2021년 평균 5.1%로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경상수지 흑자 폭 확대는 인구 구성, 고령화 속도와 같은 장기 구조적 요인과 순대외자산, 재정수지, 글로벌 분업체계(GVC) 참여도 등 중기 거시경제 여건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으로 추정됐다.
상품수지가 2012년 이후 경상수지 흑자폭 확대를 주도하는 가운데 본원소득수지도 2011년부터 흑자로 전환됐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GDP대비)는 국제유가 하락, 내수 둔화 영향으로 수출에 비해 수입이 상대적으로 부진하면 2000~2011년 3%에서 2012~2020년 6.1%로 3.1%포인트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는 만성적인 적자를 보이다가 경상수지 흑자 누증에 따른 순대외자산 증가로 2011년부터 흑자로 전환됐다.
경제주체별로는 2011년 이후 가계(비영리단체 포함) 저축-투자 갭의 플러스 폭이 확대되고 기업(비금융법인 기준)은 마이너스 폭이 크게 축소됐다. 가계는 저축을 크게 늘렸으며, 기업의 경우 저축을 확대하고 투자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경상수지 흑자의 지속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요인별 지속성을 기준으로 장기 구조적 요인(인구구성, 고령화속도 등), 중기 거시경제 여건(순대외자산, 재정수지, GVC 참여도 등), 경기적·일시적 요인(유가 등) 및 금융 요인(민간신용, 환율 등)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2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폭 확대는 장기 구조적 요인과 중기 거시경제 여건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으로 추정됐다. 장기 구조적 요인의 흑자 기여도는 핵심저축인구 비중 상승 등 인구구성 효과 뿐 아니라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저축유인 증대 효과로 흑자 기여가 확대됐다.
중기적 흐름에서는 순대외자산 플러스전환에 따른 본원소득 확대, 선진국 대비 양호한 재정수지, GVC 참여도 확대 등이 흑자 요인으로 가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경기·일시적 요인(GDP갭과 국제유가)의 기여도는 별다른 추세 없이 등락하고 있으며 환율 등 금융 요인의 기여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기 경상수지의 기조적인 흐름을 전망한 결과에 대해 한은은 최근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를 상당부분 설명하는 인구구조와 재정수지의 흑자 기여도가 향후 점진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최근의 경상수지 흑자폭 확대가 대부분 중·장기적 요인에 대부분 기인하고 있는 만큼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GDP 대비 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