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1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만화로 읽는 오늘의 인물이야기 ‘비상대책위원장-김종인’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15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1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만화로 읽는 오늘의 인물이야기 ‘비상대책위원장-김종인’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15

시민단체 “정치권 동원해 시민들 눈과 귀를 가리고 있어”

[천지일보=이대경 기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연합뉴스의 포털 송출제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18일 밤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대선 후보의 관련 입장을 다룬 기사를 링크하면서 “저는 윤석열 후보와 연합뉴스 포털 송출제한 사태에 대해 비슷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면서 “매일같이 기사를 작성하고 송고하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기자들의 노력이 징계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의 징계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사형 광고는 당연히 허용되어서는 안 되는 아주 안 좋은 행태지만 이런 잘못된 영업행위의 책임은 그에 대한 결정권을 가졌던 경영진이 져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이 대표는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의 현명한 판단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제평위는 연합뉴스가 ‘기사형 광고’를 내보낸 점을 문제 삼아 지난 12일 뉴스콘텐츠 제휴 해지를 두 포털에 권고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권고를 받아들여 18일 자로 연합뉴스와의 계약을 해지한다고 통보했다.

이에 앞서 연합뉴스는 올해 9월 8일부터 10월 10일까지 32일간 포털 노출 중단 제재를 받은 뒤 대국민 사과를 하고 관련 부서를 폐지했으며 이익의 사회적 환원 등을 약속했지만 사실상 1년간 포털 퇴출이라는 제재를 다시 받게 됐다는 게 연합뉴스의 주장이다.

제평위는 언론인 현업단체 8곳, 시민단체 4곳 등 15곳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성원 과반이 포털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와 현업 단체 소속이어서 공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불투명한 운영과 자의적인 권한 행사 등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한준호 의원은 제평위 운영 투명화 등을 골자로 하는 정보통신망법 이용촉진·정보보호법 개정안을 지난달 5일 발의했다.

반면 시민단체들은 연합뉴스가 콘텐츠 제휴에서 스탠드 제휴로 강등됐을뿐 뉴스검색은 계속된다며 “연합뉴스의 철저한 반성을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경제정의실천연합, 서울YMCA 시청자시민운동본부, 언론인권센터, 한국소비자연맹, 한국YWCA 등 5개 단체는 17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연합뉴스가 자사의 홍보사업팀을 운영해 돈을 받고 보도자료를 기사 형태로(기사형 광고) 2000여건이나 포털에 전송함으로 이용자를 기만하고 언론계의 생태계를 교란시킨 것에 대해 철저히 반성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을 이용해 여론전을 펼치는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 시민단체는 “시민들이 포털뉴스창에서 연합뉴스를 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네이버의 뉴스스탠드나 카카오의 검색을 통해 연합뉴스를 볼 수 있는데도 연합뉴스는 이번 제평위의 결정에 따른 계약조건 변경이 마치 포털과 제평위가 연합에 대해 이중제재를 하고 있으며, 국민의 알권리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정치권을 동원해 시민들의 눈과 귀를 가리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제평위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대선주자와 정치권에서 옹호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도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언론소비자의 권리를 지켜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정치권이 진정한 언론개혁을 추진하려 한다면 영향력이 있는 언론이라고 옹호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을 기만하는 행위가 무엇인지 통찰하고 언론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