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 (출처: 게이티미지뱅크)
알약. (출처: 게이티미지뱅크)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해외에서 개발된 먹는(경구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가 내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어온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정부는 40만 4000명분의 경구용 치료제 확보를 결정했고,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에 머크와 먹는 치료제 20만명분을 구매계약 했고, 화이자와 7만명분의 선구매 약관을 지난달 체결한 바 있다.

이번에 도입하는 먹는 치료제는 기저질환 및 고령 등 고위험 요인을 가진 코로나19 경증‧중등증 환자에 처방될 예정이다. 이후 확진자 발생 상황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가 구매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식약처 사용 승인 후 결정할 방침이다.

머크의 먹는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는 입원율과 사망률을 절반가량 낮추는 효과를 보였고,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는 증상 발현 사흘 내 투여 시 입원·사망 확률이 89% 감소하고, 닷새 안에 복용 시 확률이 85%까지 떨어진다는 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은 지난 4일 최초로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를 승인했고, 미국도 이달 말 이 약의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를 평가할 예정이다. 화이자의 경구용 치료 후보물질 ‘PF-07321332’는 임상시험 중이며 조만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사용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