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올해 3분기 인터넷전문은행들이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맞추기에 고심이 이어지고 있다.
연초 금융당국과 중금리대출을 연말까지 20%대까지 늘리기로 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목표치 달성을 위해 중·저신용자에게 이자 캐시백까지 제공하는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다양한 유인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3분기 카카오뱅크의 중금리대출 비중은 13.4%를 기록했다. 1분기(10.0%), 2분기(10.6%)에 비하면 크세 올랐지만, 여전히 연말 목표치인 20.8%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케이뱅크 역시 21.5%까지 중저신용 대출을 늘려야 하지만 1분기 18.2%에서 2분기 15.5%로 되려 수치가 내려간 상황이다.
신규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는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을 34.9%까지 확대해야 한다. 출범 9일 만에 대출한도가 소진돼 신규 대출을 중단한 토스뱅크는 대출 중단 시점 기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약 33%에 달했다.
다른 은행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신규 대출이 중단되면서 올해 목표치(34.9%)를 달성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5월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층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의무적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이들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위해 이벤트 등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중·저신용자 전용 대출 상품을 출시하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2분기 말 10.6%에서 끌어올렸다.
또 지난달부터 연말까지 전·월세 대출을 제외한 고신용자 대출을 중단하고 사실상 중·저신용자 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에 집중하고 있다. 고신용자 대출을 닫아 4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빠른 속도로 늘릴 방침이다.
케이뱅크는 3분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시중은행들로부터 대출을 받지 못한 고신용자들의 대출 수요가 케이뱅크로 몰리면서 1분기보다 2분기 중·저신용 대출 비중이 낮아졌다.
이에 최근 고신용 고객의 마이너스통장 대출 상품 신규 및 증액 신청을 연말까지 중단하고, 중·저신용 고객에게 두 달 치 이자를 돌려주는 캐시백 행사를 진행하는 등 연말 목표치(21.5%) 달성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행들이 중금리대출 비중을 늘리기 위해 고신용 대출을 중단하는 등 조치를 하면서 대손 비용이 늘어나고 있어 이들 은행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