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의장. (출처: 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의장. (출처: 뉴시스)

 

11∼12월 150억 달러씩 테이퍼링

[천지일보=이솜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3일(현지시간) 이번 달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작년 코로나19 대유행 사태가 발생한 이후 제공한 비상 경제 지원 철회를 공식화하는 것으로, 불과 몇 달 전보다 더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책이다.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성명을 통해 채권 매입 감소가 이달 말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연준이사회가 매입하고 있는 현재의 1200억 달러에서 매달 150억 달러(국채 10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 달러)씩 줄이기로 했다고 연준은 전했다.

FOMC는 이 같은 움직임이 “지난 12월 이후 경제가 위원회의 목표를 향해 상당히 진전된 점을 감안해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만장일치로 승인된 이번 성명은 연준이사회가 미리 정해진 방침에 있지 않으며 필요하다면 그 과정을 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FOMC는 “위원회는 매달 순자산 매입 속도의 유사한 감소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경제 전망의 변화에 의해 보장될 경우 매입 속도를 조정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주식시장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국채 수익률은 상승세로 돌아섰다.

연준은 물가 상승이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고 지속적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일시적인 요인’이라는 표현 사용은 고수하고 있다. 성명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있는데 대부분 일시적인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반영하고 있다”며 “대유행과 경제 재개와 관련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일부 부문에서 상당한 가격 상승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공급 문제가 계속되면서 인플레이션이 계속 상승하다가 2022년 중반 경에 후퇴하기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한 특히 공급망 문제가 해결된 후에도 경제가 계속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성명은 “백신 접종과 공급 제한의 완화는 인플레이션의 감소뿐만 아니라 경제 활동과 고용의 지속적인 증가를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FOMC는 기준금리를 현재의 0.00∼0.25%로 동결했다. 금리와 테이퍼링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며 성명은 투자자들이 매수 축소를 금리 인상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일정으로 볼 때 채권 매입 감소는 2022년 7월경에 마무리된다. CNBC는 연준 관리들은 테이퍼링이 끝날 때까지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고 있으며, 9월에 발표된 전망은 기껏해야 내년에 한 번 금리가 인상될 것일 뿐이라면서도 시장의 반응은 다르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은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공급망 병목현상, 높은 소비자 수요,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에서 비롯된 임금 상승에 기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준 이사회 관계자들은 인플레이션이 결국 2% 목표치에 되돌아갈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진정 과정이 오래 걸릴 것임을 시사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