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의 한 구직 상담소를 들여다보는 남성의 모습. (출처: 뉴시스)
지난해 5월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의 한 구직 상담소를 들여다보는 남성의 모습. (출처: 뉴시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9월 미국의 민간 부문 일자리가 19만4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당초 시장이 예상했던 '일자리 50만개 증가'에 크게 못 미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도입 가능성도 작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노동부는 8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9월 고용보고서를 발표했다. 19만4000개 증가는 지난 8월 36만6000개 증가 기록보다도 낮고, 시장 전망치의 39% 수준에 그친다.

구체적으로 여가·환대 부문에서 7만4000개, 전문·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6만개, 소매업은 5만6000명이 증가했다.

다만 실업률은 8월 5.2%에서 4.8%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당초 예상됐던 5.1%보다 낮고, 2020년 2월 이후 최저 기록이다.

이날 발표된 보고서는 코로나19 델타 바이러스 여파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9월 중순 수집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이후 많은 지역에서 확진 사례와 입원이 감소했기 때문에 이것은 경제 활동이 회복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가을 후반에는 일자리 증가율이 델타 바이러스 대유행 이전 단계에 근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민간 고용 부문에서 적절한 수치가 나오면 테이퍼링을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용 상황이 전망보다 나빠지면서 연준의 테이퍼링 도입 결정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시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