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0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20

국회 외통위 외교부 국정감사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대북제재 완화를 검토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북한이 대화에 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성공을 발표한 시점에도 제재 완화를 검토에 변함없느냐’는 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또 “북한이 더 이상 핵과 미사일 능력을 발전하지 못하도록 어떤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제재 완화도 북한이 대화에 응한다면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미국도 입장이 같으냐’고 묻자, 정 장관은 “그렇다고 본다”면서 “미국은 지금까지 일관되게 북한이 대화에 나오면 모든 이슈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대화에 응하지 않는 한 협의할 수 없다는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가 북한의 눈치를 보느라 도발이나 규탄이라는 표현을 하지 못하면 오히려 북한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한반도 상황을 좀 더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정부가 추구하는 북미 대화 조기 재개를 위한 노력 일환으로 보면 된다”며 “북한의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정부가 북한의 ‘가스라이팅 전략에 당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는데, “전혀 동의하지 못한다”면서 “우리 정부가 그런 식으로 남북관계를 관리하고 있지 않다고 분명히 말한다”고 반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안한 종전선언 문제도 이날 국감의 관전포인트였다.

정 장관은 ‘임기 말에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외교적 도박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주장에 “의원님 평가와 저의 평가는 판이하게 다르다”고 말한 뒤, “종전선언은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기 위한 여러 선택지 중 하나이고, 신뢰를 구축해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자는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첫 관문이고 꼭 거쳐야 하는 단계”라고 강조했다.

한미 당국이 종전선언 채택에 대비해 일정 정도의 문안에 대해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는 “내용을 확인해 드릴 수는 없지만 심도 있는 협의를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