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손지아 기자] 정부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홍보된 ‘진짜 5G’로 불리는 28㎓ 주파수 대역의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증에 착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8일 통신 3사와 서울 신답역에서 ‘5G 28㎓를 활용한 지하철 와이파이 성능개선 실증 착수회’를 개최했다.
통신 3사는 신설동역~성수역에 이르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지선구간에 5G 28㎓ 장비를 구축했고 실증 기간 5G 28㎓ 기지국과 지하철 간 통신 성능을 검증한다.
이날 통신 3사는 실증망 구축 결과를 설명하고 기존 지하철 와이파이와 5G 28㎓ 기반 지하철 와이파이 성능을 비교 시연했다. 통신 3사는 실증 기간 속도 개선을 지속하며 기술적 검증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하철 객차 내 와이파이 품질은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통신품질평가 결과 지하철 객차 내 와이파이 속도는 71.06Mbps에 그쳤다. 지하철 역사(367.24Mbps), 카페(388.44Mbps)와 격차는 5배 이상이다.
과기정통부는 5G 28㎓가 높은 전송속도와 비교해 짧은 도달거리를 가지지만 터널 내에서는 긴 도달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지하철 와이파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 기술 중 하나로 제기됐고 서울교통공사와 협의로 지하철 2호선 지선 구간에 적용을 추진하게 됐다고 했다.
통신 3사는 올해 6월 실증망 공사를 착수해 성수지선 선로에 5G 28㎓ 기지국 26개와 열차 기관실의 수신장치(CPE) 10개, 와이파이 6E 공유기 20개 등 객차 내 통신설비 구축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지하철 내 와이파이가 탑재된 단말만 있으면 5G 28㎓로 초고속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이번 실증은 5G 28㎓ 활성화와 지하철 와이파이 이용환경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정부는 관련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니 통신 3사도 5G 28㎓에 기반한 다양한 대국민 서비스를 발굴하는 한편 5G 28㎓ 구축도 지속 확대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지하철 내 5G 28㎓ 기지국 구축이 연말까지 국내 통신 3사가 목표로 한 각 1만 5000개의 28㎓ 기지국 구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지자 내놓은 ‘고육책’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8월 말 기준 통신 3사가 구축한 기지국은 200개가 채 되지 않는다. 그동안 국내 통신사들은 3.5㎓ 대역으로 전국망 구축에 집중해왔다. 이는 LTE보다 최대 4배가량 빠른 것으로 알려졌지만 20배 빠른 28㎓ 서비스를 기대했던 소비자들로서는 LTE와 비교해 확연히 빨라진 속도를 체감할 수 없었다. 또한 여전히 전국적인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라 사각지대에 놓인 소비자는 5G를 실감할 수 없는 현실이다.
- “LGU+, 올해 5G 기지국 확충 소극적”… 타사의 30% 수준
- 과방위 국감 코앞 열기 ‘후끈’… ‘네카오’부터 통신사·OTT까지
- 과기정통부,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심사·제출서류 간소화
- 방통위원장, 통신 3사에 5G 투자 확대 및 피해 구제 당부
- 과기정통부, 통신 재난 막는다… 시설 확대 및 통신망 이원화
- 여전히 5G 안 터지는 이유… “지자체 19곳, 사실상 5G 불가능”
- ‘5G 불통’ 손해배상 집단소송, 앞으로도 계속된다
- 서울에 편중된 5G 무선국·장치, 지방의 7배… “지방 가입자 차별”
- “5G에 실망한 가입자 190만명, 이통 3사→알뜰폰 대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