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앞두고 각 당에서 후보를 뽑는 경선 때가 되면 후보 캠프마다 치열한 다툼이 예견되는 것은 상례이겠지만 이번처럼 여야가 서로 뒤엉켜 자당 후보 또는 상대방을 공격하는 일은 그리 흔한 일이 아니다.
여야 후보가 확정됐을 때 상대당 후보에 대한 약점을 캐고 공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금과 같은 경선 기간 중에서도 여당에서는 야권 유력후보에 대해, 또 야당에서는 여권 유력후보에 대해 집요하고 치열한 공격을 전개하고 있다.
과거 안기부 북풍 공작, 김대업 병풍, BBK사건 등과 같은 의혹들이 대선에서 당락을 결정하는 등 크게 영향을 준만큼 정치권에서는 사실이든 거짓이든 의혹들을 만들어 내는바, 그중에서도 20대 대선을 5개월 앞둔 시기에 달궈진 ‘고발 사주’ 의혹과 ‘대장동 개발’ 의혹이 아직 의혹으로 그치고 있지만 언제 메가톤급 폭풍이 돼 정치권을 강타할지 귀추가 주목되는 일이다.
대선과 맞물린 사안이라 검찰이 두 사건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지만 이러한 소모적 다툼 의혹 제기가 장기화된다면 여야 후보에게 결코 유리하지는 않고, 국론분열은 뻔한 일이다. 특히 조성은 씨의 고발 사주 신고에 따라 공수처가 윤석열 국민의힘 경선 후보에 대해 피의자로 입건한 만큼 조속히 처리돼야 할 것이다.
조 씨의 오락가락 해명에 국민이 그 진의성을 의심하고 있는 데다가 여기에 박지원 국정원장이 조 씨와 개인적 면담을 가지는 등으로 인해 야당에서는 모종의 공작이 있지 않았을까 의혹을 가지고 있다. 시간을 끌면 끌수록 공수처와 검찰은 물론 여당에 대해서도 야당의 유력후보에게 족쇄 채우려 한다는 비난이 따를 것이다.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공수처에서는 고발장 작성자로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을 지목하고 있지만 손 검사는 이미 두 차례나 자신은 고발장을 작성한 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고발 사주 의혹은 자신과 무관한, 허황된 이야기라며 정치공작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법조계에서는 윤 전 총장에 대한 혐의가 어려울 것이라 예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한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기에 야당 유력 대선 주자가 피의자가 된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해 공수처, 검찰 등 수사기관에서는 조속히 사건을 매듭지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