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금융공공기관이 올해 상반기 사회적 경제기업 1655사에 대출, 보증, 투자 등으로 3179억원을 공급해 연간 공급목표(5162억원)의 62%를 달성했다.

금융위원회는 1일 올해 제2차 사회적금융 협의회를 열고 상반기 사회적금융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향후 사회적금융 추진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사회적 금융은 취약계층에게 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하는 사회적 경제기업과 협동조합 등 경제적 이익보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요자에게 대출이나 투자를 하는 금융을 말한다.

이들은 업력이 짧고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아 민간 금융회사를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금융위는 올해 목표액으로 5162억원을 설정하는 등 공공부문을 통한 자금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유형별로는 대출이 1700억원, 보증 2500억원, 투자 962억원 등이다.

7월 말 기준 공급실적은 공급목표 대비 62%를 집행한 3179억원이다. 부문별로 대출은 716개 기업에 957억원(집행률 56%), 보증 886개 기업에 1767억원(71%), 투자 53개 기업에 455억원(47%)이다.

은행권의 6월 말 기준 사회적 경제기업에 대한 대출잔액은 1조 2563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350억원(12.0%) 늘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출이 9956억원(79.3%), 협동조합 2240억원(17.8%), 마을기업 291억원(2.3%), 자활기업 74억원(0.6%) 순이다.

은행별 실적은 기업은행 3424억원(27.3%), 신한은행 2548억원(20.3%), 농협은행 1512억원(12.0%)의 실적이 전체 실적의 59.6%(7484억원)를 차지했다.

금융당국은 사회적금융 인프라 개선 추진 현황에 대한 점검도 진행했다. 신용보증기금이 우수한 사회적 경제기업을 발굴, 지원하기 위해 ‘표준 사회적 경제기업 평가시스템’을 개발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8월 말 기준 해당 시스템은 30개 기관에서 활용 중이며, 연말까지 50개 기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신용정보원은 민간금융기관이 사회적경제기업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기관에 분산된 기업정보를 집중하고 있다. 6월 기준 2만 6496곳의 정보를 모았으며,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정확성을 높여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