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작·발사 등 전 과정 주관
[천지일보=최혜인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스페이스X와 차세대중형위성 4호 발사체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500㎏급 표준형 위성플랫폼인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까지 책임짐으로써 뉴스페이스 시대로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고 KAI는 평가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가 발간하는 항공우주산업통계(2020)에 따르면 국내 우주 제조분야 규모는 약 3500억원 규모로 이 중 KAI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수준이다.
지난 2월 뉴스페이스 TF를 발족한 KAI는 500조원으로 추산되는 우주시장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업체 중심의 밸류체인을 연내 완성한다는 목표다.
지난 3월 발사된 차세대중형위성 1호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했으나 2호기부터 5호기까지는 제작과 발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KAI가 주관한다.
내년 초에는 차세대중형위성 2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이어 3호(우주과학·기술검증), 4호(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 관측) 위성도 개발해 오는 2025년까지 발사한다는 목표다.
KAI는 스페이스X와 발사 성공률이 높으면서 비용이 낮은 발사체 계약과 함께 전략적 협력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KAI 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 5월 미국 현지에서 스페이스X 고위관계자를 만나 아시아 시장 진출을 협의했으며 양 기관의 공동협력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창헌 KAI 미래사업부문장 상무는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기후, 국토관리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을 위해 M&A나 전략적 제휴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KAI는 위성의 설계부터 제작, 조립, 시험 등의 모든 과정이 가능한 업체로 대형부터 초소형위성까지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민간 우주센터를 건립하고 양산 체제를 확보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