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허가·토지보상 절차 동시에 진행 중”
내년 중 보상 마치고 부지조성 공사 돌입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토교통부는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접수를 앞두고 일부 신도시에서 토지보상 등이 늦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3기 신도시 토지보상이나 지구계획 승인 절차는 차질 없이 추진 중”이라고 해명했다.
국토부는 7일 발표한 참고자료를 통해 “3기 신도시는 본 청약 지연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과거 보금자리주택사업과 달리 지구계획 등 인허가 절차와 토지보상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입주초기 입주민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대책을 입지발표와 함께 선제적으로 마련했으며, 지난해 교통대책을 모두 확정한 이후 기본설계 등 후속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달 15일 인천 계양부터 시작해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사전청약을 받는 3기신도시는 총 7곳이다. ▲남양주 왕숙·왕숙2 ▲하남 교산 ▲인처너 계양 ▲부천 대장 ▲고양 창릉 ▲안산 장상 등이다. 분양가는 시세 대비 60~80% 정도로 책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천 계양과 남양주 왕숙, 고양 창릉 등지의 토지보상과 지구계획 수립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이달 사전청약이 시행되는 인천 계양은 5월 지구계획을 확정했고, 11월 사전청약할 예정인 하남 교산은 지구계획 승인 마무리 단계로 공공주택 통합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8월 초에 승인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작년 연말부터 보상금 지급이 시작돼 인천 계양은 60% 이상, 하남 교산은 80% 이상 협의 보상이 진행되는 등 토지보상이 상당 부분 이뤄지고 있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나머지 3기 신도시는 남양주 왕숙 8월, 고양 창릉·부천 대장은 10월 쯤 지구계획 승인을 얻을 예정”이라며 “토지보상 역시 보상계획 공고 이후 지장물 조사 등 절차를 본격 진행하고 있으며, 주민협의 등을 거쳐 모든 지구가 올해 안에 보상금 지급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는 내년까지 보상을 마무리하고 부지조성 공사에 착수해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본 청약을 시행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