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앞두고 강력한 '가계대출 총량관리'에 들어간 은행이 대출 접수 경로를 아예 차단하는 이례적 조치를 연이어 내놓고 있다. 그동안 은행들은 가파른 가계대출 증가세를 '자율적 규제'로 붙잡으라는 금융당국 압박에 따라 은행들은 우대금리는 지속해서 없애고, 대출 가능 한도도 낮춰 왔다. 사진은 지난 15일 오전 영업을 앞둔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모습. (출처: 연합뉴스)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모습.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시장금리 상승으로 금융기관 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현재 대출을 보유한 가계가 내야 할 이자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금리가 1%포인트(p)만 높아져도 이자부담은 12조원 가까이 불어난다.

9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 대출(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등) 금리가 1%p 오를 때 이자는 11조 8천억원 증가한다.

자영업자의 대출규모는 777조원인데 대출 금리가 1%p 오르면 5조 2천억원을 더 내야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자 증가액을 소득분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 5천억원 ▲2분위 1조 1천억원 ▲3분위 2조원 ▲4분위 3조원 ▲5분위(상위 20%) 5조 2천억원이다.

5분위 고소득층을 빼고 저소득층과 중산층에서만 6조 6천억원의 이자 부담이 생기는 것이다.

이 집계는 한은이 작년 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통계상 가계대출 총잔액인 1630조 2천억원을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파악한 소득분위별 금융부채 비중에 따라 나눈 결과다.

한은은 은행권 대출 자료와 비은행권 모니터링 정보 등을 분석해 가계대출의 72.2% 정도가 변동금리 대출일 것으로 추정했다. 변동금리 대출은 시장금리 상승에 바로 영향을 받는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소득분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이번 분석에서는 모든 분위에 같은 비율을 적용했다. 이 변동금리 가계대출 잔액에 금리 인상 폭 1%포인트(0.01)를 곱해 추정된 것이 총 이자 증가분(11조 8천억원)과 소득분위별 이자 증가 규모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한국 전체 금융부채 가운데 각 소득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1분위 3.9% ▲2분위 9.4% ▲3분위 17% ▲4분위 25.6% ▲5분위 44.1%다.

같은 방법으로 금리가 0.5%p 오를 때 가계대출 이자는 5조 9천억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소득분위별로는 ▲1분위 2천억원 ▲2분위 6천억원 ▲3분위 1조원 ▲4분위 1조 5천억원 ▲5분위 2조 6천억원이다.

특히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도 금리가 오를 경우 커지게 되는데, 1%p 오를 경우에는 5조 2천억원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기관별로 보면 은행 대출자의 이자가 3조 3천억원,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 이자가 1조 9천억원 불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작년 3분기 기준 국내 전체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가 777조 4천억원 정도 될 것으로 추정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