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시장금리 상승으로 금융기관 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현재 대출을 보유한 가계가 내야 할 이자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금리가 1%포인트(p)만 높아져도 이자부담은 12조원 가까이 불어난다.
9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 대출(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등) 금리가 1%p 오를 때 이자는 11조 8천억원 증가한다.
자영업자의 대출규모는 777조원인데 대출 금리가 1%p 오르면 5조 2천억원을 더 내야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자 증가액을 소득분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 5천억원 ▲2분위 1조 1천억원 ▲3분위 2조원 ▲4분위 3조원 ▲5분위(상위 20%) 5조 2천억원이다.
5분위 고소득층을 빼고 저소득층과 중산층에서만 6조 6천억원의 이자 부담이 생기는 것이다.
이 집계는 한은이 작년 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통계상 가계대출 총잔액인 1630조 2천억원을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파악한 소득분위별 금융부채 비중에 따라 나눈 결과다.
한은은 은행권 대출 자료와 비은행권 모니터링 정보 등을 분석해 가계대출의 72.2% 정도가 변동금리 대출일 것으로 추정했다. 변동금리 대출은 시장금리 상승에 바로 영향을 받는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소득분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이번 분석에서는 모든 분위에 같은 비율을 적용했다. 이 변동금리 가계대출 잔액에 금리 인상 폭 1%포인트(0.01)를 곱해 추정된 것이 총 이자 증가분(11조 8천억원)과 소득분위별 이자 증가 규모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한국 전체 금융부채 가운데 각 소득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1분위 3.9% ▲2분위 9.4% ▲3분위 17% ▲4분위 25.6% ▲5분위 44.1%다.
같은 방법으로 금리가 0.5%p 오를 때 가계대출 이자는 5조 9천억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소득분위별로는 ▲1분위 2천억원 ▲2분위 6천억원 ▲3분위 1조원 ▲4분위 1조 5천억원 ▲5분위 2조 6천억원이다.
특히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도 금리가 오를 경우 커지게 되는데, 1%p 오를 경우에는 5조 2천억원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기관별로 보면 은행 대출자의 이자가 3조 3천억원,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 이자가 1조 9천억원 불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작년 3분기 기준 국내 전체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가 777조 4천억원 정도 될 것으로 추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