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증상 감염발생 존재 확인
외국보단 항체 보유율 낮아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정부가 항체가조사 결과 양성판정자가 55명으로 나타나 미진단 감염자와 지역사회 내에 무증상 감염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4일 질병관리청 정례브리핑에서 지난해 4월 21일~12월 12일 국내 지역사회의 집단면역도를 확인하기 위한 항체가조사를 실시한 가운데 총 1만 7588명 중 양성 건수는 55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항체가검사란 자신도 모르게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완치된 후 체내에 항체를 형성한 사람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다. 조사 대상자의 몸속의 항체 형성 여부를 살펴보면 감염된 사실을 모른 채 지나간 환자를 포함해 전체 환자의 규모를 추청해볼 수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표본집단과 규모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일부인 5284명에 대한 항체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 5건의 항체 양성 건이 확인이 됐으며 이 중 3명이 기존 확진자였다. 아울러 육군훈련소의 입영 장정 9954명에 대한 항체가검사를 실시한 결과 확진 양성 건수는 31건이었으며 이 중 13명이 기존 확진자였다.
또한 1차 유행의 특정한 지역인 대구·경산 지역의 일반 주민 2350명과 의료진 302명에 대해서도 항체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항체 양성 건수가 19건 확인됐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이 검토·논의한 결과 항체 양성자 중에는 미진단 감염자도 확인됐고, 지역사회 내에 무증상 감염이 존재함도 확인됐다.
항체를 가진 55명 중 기존 확진자 총 16명을 제외한 39명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감염이 됐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역사회 내에 조용한 전파가 있는 것이다.
다만 외국과 전체적으로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항체 보유율은 대체적으로 낮은 수치라는 의견들이 있었다.
권 부본부장은 다른 국가에 비해 국내 항체 양성률이 낮은 것을 두고 “외국에 비해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등 방역관리가 잘 유지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다만 조사 결과 데이터는 3차 전국 유행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