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오전 광주향교에서 진행된 춘기 석전대제가 진행된 가운데 제관들이 대성전을 바라보며 입장 전 대기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우리나라만 있는 전통…문화적 가치 높아

[천지일보 광주=김태건 수습기자] 광주향교(전교 강대욱)는 공자 탄생 2566주년(孔紀 2567年)을 맞아 16일 오전 10시 광주시 남구 구동 대성전에서 2016년 춘기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이날 행사는 강대욱 광주향교 전교, 박주선 국회의원, 최영호 남구청장과 지역 유림,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교의 창시자 공자를 위시한 25현을 추모하는 의식이 진행됐다.

중요 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된 석전대제는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전통 유교의식으로 조신시대에는 국가적인 행사로 치러졌다. 석전대제는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에서 지내는 큰 제사이며, 매년 음력 2월 초정일과 음력 8월 초정일 두 번에 걸쳐 봉행되고 있다.

이 전통은 중국과 일본에는 남아있지 않고 우리나라에서만 보유하여 계승되고 있다. 의식은 영신례, 전폐례, 초헌례, 공악, 아헌례, 종헌례, 음복례, 철변두, 송신례, 망료의 순서로 진행된다.

또 본 의식은 정숙한 가운데 예악과 일무가 거행되는 등 종합 예술의 색채도 띈다.

한편 이날 광주향교 춘계 석전대제 봉행 행사는 초헌관에 최영일 조선이공대학교 총장, 아헌관에 정길회(87, 남, 광주 서구 쌍촌로)씨, 종헌관은 위계후(84, 남, 광주 북구 각화동)씨가 맡아 각각 헌작했다.

▲ 16일 오전 10시 광주향교에서 춘기 석전대제가 열린 가운데 초헌관을 필두로 한 제관들이 대성전을 향해 걸어가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태건 수습기자 didrn00@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